학술논문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임희규(Hee-Kyu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3, 85~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 별로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정책, 사회복지 지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중년(173명)과 65세 이상의 노인(196명)을 의도적 표집으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이 노년층보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활동,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성별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중년과 노년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령분포와 지역적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따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In particular, it is interested 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aging and the suggestion of programs and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purposive sample of 173 middle-aged people and 196 old-aged peopl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OVA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uccessful retirement is higher in middle-aged people than old-aged people.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middle-aged people, they are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ossession of a residence. On the other hand, old-aged people are affected by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ex. According to this research,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differently designed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아버지 역할지능에 대한 양육신념 및 자녀기대감의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여성이 양로시설노인으로부터 경험한 폭력에 관한 연구
-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
-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