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of Intermarried Korean Men: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경(Min-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3,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 레질리언스와 사회부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해보고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에 대한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국제결혼한 한국남성 17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와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레질리언스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사회부적응과는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레질리언스는 사회부적응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부정적 정서가 높은 경우 레질리언스는 낮게 나타나고, 사회부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레질리언스가 높은 경우 사회부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레질리언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레질리언스는 사회부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어 레질리언스가 높을수록 사회부적응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사회부적응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주었고, 레질리언스를 통해 사회부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질리언스는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즉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이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가 높다하더라도 레질리언스가 높다면 사회부적응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레질리언스 향상을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야 하며 특히 레질리언스가 이들 변인을 매개하고 있어 사회부적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방안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resilience and social maladaptation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among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The subjects were 172 intermarried Korean m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and AMOS. The instruments were McCubbin(1981)'s FILE, Bradburn(1969)'s Negative Emotion Scale, Lee(2006)'s Resilience Scale, and Shin(2001)'s Mental Health Sc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amily stress and negative emo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maladaptation.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maladaptation, and resilience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Family stress and negative emotion influenced resilience. Ego resilience influenced negatively social maladaptation.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termarried Korean men's social maladaptation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in order to build 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아버지 역할지능에 대한 양육신념 및 자녀기대감의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여성이 양로시설노인으로부터 경험한 폭력에 관한 연구
-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
-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