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범죄예방활동에 있어서 첨단과학기술의 활용 가능성

이용수 77

영문명
Possibility of Use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Polic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Focusing on Street Crimes and Intrusion Crime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박행렬(Haeng Ryeol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2호, 209~23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범행기회억제 전략에 근거하여 범죄예방분야에 첨단과학기술을 어떻게 융합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범죄예방활동에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CPTED 중 기계적 감시, 기계적 접근통제와 관련이 깊다. 범죄예방의 중점을 노상범죄와 침입범죄에 둔 이유는, 국민의 삶의 질을 조사하는 국내외 조사기관들이 공히 그 척도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노상범죄와 침입범죄가 국민의 삶의 질(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범죄예방에서 과학기술의 활용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범죄학이론의 관점과 각 범죄의 특성상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노상범죄, 침입범죄의 예방을 위해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과학기술인 지능형 CCTV, 자율비행 드론, 순찰로봇 분야의 현황과 기술수준단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술들을 융합하여 보다 발전된 범죄예방시스템 구축의 가능성과 그 예상모델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strategies to deter crime opportunities by us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ield of crime prevention. Among CPTED strategies, mechanical monitoring and mechanical access control are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Domestic and foreign investigative agencies that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commonly say that the fear of crime damage,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s the fear of street crime or intrusion crime from complete strangers. Therefore, CPTED including mechanical monitoring and mechanical access control is the most suitable strategy to reduce these fear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which strategy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 focusing on criminal theory, and searches the current status and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AI CCTV, autonomous flying drones, and patrol robot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more advanced crime prevention system by converging these technolog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범죄의 특성과 차별적 범죄예방
Ⅲ. 범죄예방 분야의 과학기술 현황
Ⅳ. 첨단과학기술의 활용 가능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행렬(Haeng Ryeol Park). (2024).경찰범죄예방활동에 있어서 첨단과학기술의 활용 가능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 (2), 209-238

MLA

박행렬(Haeng Ryeol Park). "경찰범죄예방활동에 있어서 첨단과학기술의 활용 가능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2(2024): 209-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