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와 기성세대의 미디어 접촉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7
- 영문명
- The impact of Media Contact on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in MZ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 The Mediating Role of Police Trust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주애(Ju Ae Park) 최응렬(Eung Ryu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2호, 179~2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디어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이 경찰신뢰와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의 세대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 자체적으로 수집한 ‘경찰조직 및 범죄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MOS 23.0을 통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에서 경찰신뢰가 미디어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과 경찰협력의사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기성세대에서도 경찰신뢰가 미디어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과 경찰협력의사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두 집단(MZ세대-기성세대)에서 모두 미디어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과 경찰신뢰를 설명하는 경로와 경찰신뢰가 경찰협력의사를 설명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두 집단 간 경로계수의 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이 모든 세대의 경찰신뢰와 경찰협력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1) 영웅화된 허구적 경찰의 모습을 지양하고 2) 시민들의 협력을 이끌 수 있는 일상적인 경찰의 모습을 부각시키는 전략적 미디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positive police contact through the media on police trust and cooperation intention. Utilizing data collected from a “Citizen Perception Survey on Police Organizations and Crime” conducted internally, the analysis employe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23.0.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Z generation, police trus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olice contact through the media and cooperation intention. Second, in the other generation, police trust also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olice contact through the media and cooperation intention. Third, in both groups (MZ generation - other generation), the paths explaining police trust through positive police contact via the media and the path where police trust explains cooperation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positive police contact through the media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lice trust and cooperation intention for all gene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strategic media utilization approaches are suggested: 1) avoiding the portrayal of idealized and fictionalized police figures and 2) emphasizing the depiction of everyday police figures that can lead citizen co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