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 과학수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 개선방안

이용수 88

영문명
Improvements in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Police Forensic Expertise: Focusing on comparison of overseas case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노희주(Heejoo Noh) 김연수(Yeon 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2호, 119~15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학수사관의 전문성은 조직 전반의 수사역량 및 대외적 공신력과 직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수사관 개개인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수단으로써 교육훈련을 통한 전문성 강화는 과학수사에서 중요한 현안으로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수사 분야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국내 과학수사 교육훈련 제도는 교육과정의 전문성 부재, 교육 자원의 부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국내 과학수사 교육훈련 제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과학수사 교육훈련의 운영실태를 검토하고, 해외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를 중심으로 교육훈련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국내 과학수사 교육훈련 제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별 특장점을 기반으로 분야별 교육을 체계적으로 분담한다. 이를 통해 경찰수사연수원의 교육 부담을 완화하고 기관별 교육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주요 교육과정별 이수 기간을 명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수사관의 교육 이수율을 높이고, 경력 단계에 따른 적정 시기에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실무자 대상 교육과정의 주기적인 질 관리가 필요하다. 과학수사 자문단 및 관련 학회를 활용하여 교육 콘텐츠를 점검하고, 과학수사의 직무 범위 및 시대적 흐름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정례적으로 검토·보완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expertise of crime scene investigators directly impacts an organization's overall investigative capacity and external public trust. Consequently, enhancing and continually managing the expertise of individual crime scene investigators is recognized as a crucial aspect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Education plays a pivotal role in bolstering capabilities across the police force, including crime scene investigation. However, the domestic training system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still faces criticisms for various limitations, such as a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and insufficient educational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training system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by addressing identified issues and necess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operational framework of the domestic training system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was examined, and insights were drawn by analyzing training practices in several overseas countries (USA, Canada, France, Japa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omestic training system are proposed. First, specialized education by field should be systematically divided based on the strengths of each institution. This approach will help alleviate the training burden on the Police Investigation Training Institute and enable efficient utilization of training resources across institutions. Second, completion periods for each major curriculum should be clearly defined. This strategy aims to enhance the training completion rate of scientific investigators and encourage timely completion based on career stage. Third, the quality of every training courses should be periodically managed. It is essential to periodically review and update training courses for practitioners. Leveraging scientific investigation advisory groups and relevant academic societies can ensure that educational content remains aligned with the scope of duties and current trends in forensic sc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희주(Heejoo Noh),김연수(Yeon Soo Kim). (2024).경찰 과학수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 (2), 119-152

MLA

노희주(Heejoo Noh),김연수(Yeon Soo Kim). "경찰 과학수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2(2024): 119-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