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Parenting Stress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Working Mo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유경(You Kyung Lee) 이헌주(Hun J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6 No.1, 171~2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considers the parenting stress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working mo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and the data of the interview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An essential topic was derived. Results: First, central phenomenon was 'exhaustion due to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causal conditions of this phenomenon included 'increased infant time and burden', 'situation where only children are neglected', 'situations that is deprived and controlled,' and 'fears of infection'. Third,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lack of family help','economic anxiety', and 'social criticism and prejudice'. Fourth, the mediation conditions were 'family support and help', 'conversation with support group'. Fifth, the actions/interaction were 'avoidable coping','individual coping','relational coping', and 'social coping'. Sixth, consequences had 'emotional stability', 'introduction of new adaptation methods', 'sustaining anxiety', and 'sustaining social anger and frustration' Seventh, in process analysis, the stress and process of working moms during the COVID-19 pendemic signify 'the stage of confusion', 'the stage of anger', 'the stage of frustration', 'the stage of negotiation', and 'the stage of adaptation'. Conclusion: The types of analysis were classified as avoidance type, active response type, and relational type.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process analysis and the support plan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spect of adapt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행복감, 어머니의 행복감,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
-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