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
- 영문명
-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on Fear of Intimac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by Post-Traumatic Growth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은경(Eun G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6 No.1, 147~1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s and fear of intimacy through traumatized self-system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63 university students (male: 118[32.5%], female: 245[67.5%], M = 21.34[SD = 2.23]).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for moderated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using PROCESS macro 3.0 model 1, 4, 14 methods. Results: First, the fully mediating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on the proces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s affected the fear of intimacy. Second, as to the effects of traumatized self-system on fear of intimacy, the adjustment effect was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was verified. Namely, the mediating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was moderated by post-traumatic growth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s and fear of intima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the intimacy of university stud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행복감, 어머니의 행복감,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
-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