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One-Person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성혜영(Heayoung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6 No.1, 61~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on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addition, even within one-person households, I attemp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cause of the households’ composition was separation after marriage or a one-person household without a spouse due to being unmarried, bereavement, or divorce.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19 Social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ingle-person households had weaker economic conditions,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preparation for retirement whe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ne-person households lacked a social network to receive help when they face difficultie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but there was no effect on group activities or the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s. However, households with no spous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ocial network, group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s.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and one-person households with no spouse had a negative effe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retirement, when labor activity and asset variables were not considered. Howev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when these variables were consider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행복감, 어머니의 행복감,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
-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