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Face-to-face and Smart-phone Communication Method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성희(Sung Hee Choi) 오윤자(Yoon Ja Oh)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6 No.1,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in face-to-face and smart-phone communication methods. Methods: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mong major variables as well as to analyze the PROCESS Macro 3.5 Program Model 4 for 304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D-gu, Seoul. Result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identified in both face-to-face and smart-phone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in case of the type of parent-child face-to-face and smart-phone communication, parent empathy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school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In face-to-face and smart-phones communication methods, the study confirmed that parental empathy is an important variable, and in the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situations are increasing, research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mpathy using smart-phones should be continu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행복감, 어머니의 행복감,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
-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