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더 글로리>의 시청 동기 분석으로 살펴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 및 재시청 의도

이용수 112

영문명
Chinese Viewers’ Korean Culture Favorability and Re-watching Intention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Viewing Motivations for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장이판(Yifan Zhang)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3호, 713~73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드라마의 특성이 재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메커니즘을 검증함으로써 한국문화를 효과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드라마 제작 전략을 제시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더 글로리>를 본 적이 있는 중국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최종 총 245부 유효 표본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청자들이 지각한 한국드라마의 주연배우 특성, 주제 특성, 제작 특성, 화제성이 높을수록 재시청의도와 한국문화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가 높을수록 재시청의도가 커지며, 드라마 특성이 한국문화 호감도를 경유하여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중국시장에서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중국의 시청자가 선호하는 주연 배우, 스토리 주제, 제작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소셜미디어에서의 화제성을 중요시해야 하고, 셋째, 드라마를 제작할 때 드라마로 한국문화를 가시화하여 보여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한국드라마의 중국 수출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V drama production strategy that effectively diffuses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dramas by verifying the intrinsic mechanism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impacting on re-watching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viewers who had watched the Korean drama , and a total of 245 samples were analyzed as final valid sampl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nese people's re-watching int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V dramas and re-watching intention, Korean Cultural favor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Such research results enlighten us that, firstly, in order to obtain high ratings in the Chinese market,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the actors and stars, story themes, and production techniques that Chinese audiences love; secondly, with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operation of dramas on social media; thirdly, when producing dramas, it is very important to show Korean culture through drama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Korean drama export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이판(Yifan Zhang),김선영(Sunyoung Kim). (2024).<더 글로리>의 시청 동기 분석으로 살펴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 및 재시청 의도. 한국과 국제사회, 8 (3), 713-738

MLA

장이판(Yifan Zhang),김선영(Sunyoung Kim). "<더 글로리>의 시청 동기 분석으로 살펴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 및 재시청 의도." 한국과 국제사회, 8.3(2024): 713-7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