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계량적 통계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詩世界) 전개
이용수 67
- 영문명
- Development of Kim Hyun-seung's Poetry based on quantitative statistics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대배운(Peiyun Dai)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3호, 335~3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다형 김현승(1913~1975)의 시어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찾아내고, 각 시기 시어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김현승의 작품을 목록화하고 시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계량적 방법으로 시어 통계를 진행했다. 새로운 연구법을 통해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증하고 보완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김현승 현재 발간된 작품들을 목록화하여 총 257편 작품을 통계 대상으로 삼고 기존 연구에 따라 1기(해방 전), 2기(1954~1963), 3기(1964~1970), 4기(1971~1974)로 나눠 시어 빈도를 얻고 분석하였다. 형식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짤막한 문장을 선호하여 단시(短詩)를 많이 창작했다. 그리고 내용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행동보다 사물 자체에 대한 묘사를 더 집중함을 알 수 있고 '신'에 대한 집착을 확인할 수 있다. 어휘 빈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 김현승의 시세계는 1기가 ‘희망’, 2기가 ‘신앙’, 3기가 ‘고독’, 4기가 ‘사랑’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결과는 조태일, 김병선 등 김현승의 연구자들이 텍스트 분석으로 밝힌 시세계 양상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계량적 방법은 시를 연구할 때 한 연구법으로 전통 시어 분석법의 보조로 되어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will list the works he created and apply a new method called the measurement method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cademic world through poetic statistics on Kim Hyun-seung's poetry. In this thesis, a total of 257 works were statistically targeted by listing the currently published works and organizing overlapping and vocabulary problems. Mainly, the work of Kim Hyun-seung was analyzed in both aspects of form and content. As a characteristic of the form, Kim Hyun-seung created a lot of short poems by preferring short sentences. In addition, Kim focuses more on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 itself than actions. These statistical results are similar to the aspects of the poetry world that researchers of Kim Hyun-seung, such as Cho Tae-il and Kim Byung-sun, revealed through research. Therefore, I think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can provide a new research perspective as an aid to the traditional poetry analysi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when studying poetry.
목차
Ⅰ. 서론
Ⅱ. 계량 대상의 목록화 정리
Ⅲ. 계량적 분석으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8권 제3호 목차
- 영화에서 장소가 내러티브와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아르헨티나 의료정책을 통해 본 이주민의 건강
- 메가 이벤트와 도시 거버넌스
- 사토일기(1880∼1881)로 보는 사토와 이동인의 접촉 행적에 관한 연구
- 취업준비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 색채 심리학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성과 서사 연구
- 开化派金玉均对日观的转变及意义
- 百年大变局下中国与东盟10+1合作机制的发展探究
- 이슈 및 정치인 평가에서 젠더 격차 분석
- 5·18 광주항쟁기 윤상원과 시민군의 저항정신 고찰
- 동남아시아 신흥공여국의 부상
- 사회적기업 종단적 성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요인
- 4.10 총선에서 비례대표제와 공천 과정
- 구강보건정책 연구 동향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 법률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복합센터 건립수요 분석 연구
- 한국 중년 여성의 자녀 결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계량적 통계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詩世界) 전개
- 사회주의 체제 전환기, 문학작품에 나타난 북한 사회의 갈등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인생태도가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참여가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정신장애인의 먹고살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외국인 유학생(D-2) 지역 정착 과제
- 장애인 고용 비의무 기업 고용주의 장애인식과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효과의 조절효과
-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
- 하비프러너 도슨트(Hobby-Preneur Docent)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의 지지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경험한 음악교육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더 글로리>의 시청 동기 분석으로 살펴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문화 호감도 및 재시청 의도
- Current Status and Policy Suggestions of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4-year-old Children in China During and After COVID-19
- Visual Expression of National Cultural Identity :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South Korean Sports Event Poster Designs
-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Four Gods Cultur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Mythology
- How Did the Quad Return? A Perspective that Combines Minilateralism's Characteristics and Japan's Domestic Politics
- Hashtag Activism for Global Governance through Celebrity Diplomacy : The Collaboration between UNICEF and BTS
- 青少年の精神健康に及ぼす親支援、教師との関係、ストレス間の構造的影響関係の探索: ベイジアン構造方程式モデルの適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