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업준비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이용수 62

영문명
Differences in Cluster Type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by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오은주(Eunjoo Oh)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3호, 449~47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업 준비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업 불안과 구직효능감 수준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2단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1은 ‘낮은불안-낮은효능감 집단’으로, 군집2는 ‘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단’, 군집3은 ‘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 군집4는 ‘높은 불안-매우 낮은 효능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 간의 취업준비행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2(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단)와 군집3(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은 군집1(낮은 불안-낮은 효능감 집단)와 군집4(높은 불안-매우 낮은 효능감 집단)에 비해 취업준비행동을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취업지도 분야에서 군집유형별 진단을 통해 맞춤형 취업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379 college students preparing to enter the workforce and analyzed differences in cohort characteristics and job readiness behaviors based on levels of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lusters according to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Cluster1 was named 'low anxiety-low efficacy group', cluster2 was named 'low anxiety-high efficacy group', cluster3 was named 'high anxiety-medium efficacy group', and cluster4 was named 'high anxiety-very low efficacy group'. Second, the clusters differed in their job readiness behaviors. Cluster2 (low anxiety-high efficacy) and Cluster3 (high anxiety-moderate efficacy) were found to be more active in job search behaviors compared to Cluster1 (low anxiety-low efficacy) and Cluster4 (high anxiety-very low 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luster-specific diagnosis in the field of college student employment guidance to provide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주(Eunjoo Oh). (2024).취업준비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한국과 국제사회, 8 (3), 449-473

MLA

오은주(Eunjoo Oh). "취업준비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한국과 국제사회, 8.3(2024): 449-4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