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에서 장소가 내러티브와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4

영문명
A Study of the Impact of Location on Narrative and Character in Film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최수지(Suzie Choe)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3호, 139~15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에서 장소는 단순한 물리적 배경일 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진행과 내러티브에 묘사된 캐릭터의 심리와 극적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소와 내러티브, 캐릭터는 각각 독립된 존재로만 기능하지 않고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영화에서 장소가 내러티브와 캐릭터에 영향을 준 다양한 사례들을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소와 내러티브’, ‘장소와 캐릭터’ 두 부분으로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장소가 내러티브 및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의 건축적인 요소나 대도구 및 장식품들은 독특한 장소감을 만드는데, 이는 분위기 조성, 문화적 대비, 물리적 특성, 상징과 은유 등으로 내러티브를 발전시키며 캐릭터의 감정 몰입을 돕는다.

영문 초록

In a movie, a location is not just a physical setting, but can also affect the narrative progress,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depicted in the narrative, and the dramatic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 place, narrative, and characters do not function as independent entities but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reviewed various cases where location influenced narrative and characters in movies. Specifically, it was categorized into two parts, ‘place and narrative’ and ‘place and character’, and the impact of place on narrative and character was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rchitectural elements, large tools, and ornaments of a place create a unique sense of place, which develops the narrative through atmosphere creation, cultural contrast, physical characteristics, symbols, and metaphors, and helps the character's emotional immers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Ⅲ.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지(Suzie Choe). (2024).영화에서 장소가 내러티브와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8 (3), 139-159

MLA

최수지(Suzie Choe). "영화에서 장소가 내러티브와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8.3(2024): 139-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