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렬토기의 기원과 편년에 대한 학사적 검토

이용수 77

영문명
Debating the Origins and Chronology of Rim-Perforated Pottery: A Critical Review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황재훈(Jaehoon Hwang) 김영은(Youngeun Kim)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8집, 173~2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에서는 공렬토기의 기원과 편년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여 계통론과 유형론, 그리고 편년관에 대한 인식 변화와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공렬토기는 무산 호곡동 유적에서 즐문토기와 함께 공반되면서 신석기 최말기에 등장하여 청동기시대로의 문화적 연속성을 지닌 토기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배경아래 1960~80년대 공렬토기는 가락동식토기와 함께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를 대표하는 물질문화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다 90년대 이후 청동기시대 대형 취락 유적들이 다수 조사되면서 돌대문토기를 비롯한 이른 시기의 자료들이 새로이 발견됨에 따라 공렬토기의 기원과 등장 시점에 대한 또 다른 견해들이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들어 공렬토기의 늦은 하한연대에 대해서는 연구자 간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돌대문토기, 각형토기, 가락동식토기 등 이른 시기 남한 제 지역 토기 양상이 상이하기에 이를 둘러싼 공렬토기의 계보와 편년, 전개과정에 대해서는 견해 차가 적지 않은 형편이다. 한국 청동기시대 연구사에 있어 문화유형의 제안은 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유형은 물질문화를 정리하고 요약하여 일정한 시·공간에 담은 결과물로써 편년의 지표나 지역색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연구 초기에 제안된 문화유형은 이후 자료가 추가되면서 문화내용이 계속하여 변모하게 되는 한편 세분되고 포괄하는 내용도 확대되고 있다. 공렬토기 또한 역삼동유형으로 정립되면서 기원과 편년 부문에 있어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유형은 그 자체로 완성된 일련의 유물복합체이기 때문에, 이러한 개념 아래에서는 자료가 지닌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면모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공렬토기에 대한 논의가 진척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완성된 문화유형으로 설정할 것이 아니라 초현 시점의 토기 요소에서 역삼동 유형으로 정립되어 가는 과정 전체가 다루어져야 한다. 이럴 때 비로소 공렬토기에 대한 시간적 위치와 지역별 변이, 그리고 고안된 역삼동유형의 유용성까지 모두 살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history of the origin and chronology of rim-perforated pottery since the 1960s was reviewed to examine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research trends of origin, typology, and chronology in the study of the Bronze Age. rim-perforated pottery was recognized as an earthenware with cultural continuity that appeared from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as it was exported together with the comb-pattern earthenware from the ruins of Hogok-dong, Musan. Under this background, rim-perforated pottery in the 60s and 80s has been treated as a material culture representing the early Bronze Age along with Garakdong-style earthenware. Then, after the 90s, as a number of large-scale settlement sites of the Bronze Age were investigated, data from the early period, including stone gate earthenware, were accumulated. For this reason, different views on the origin and timing of the emergence of rim-perforated pottery began to be presented. Regarding the lower limit date of rim-perforated pottery, researchers tend to space between researchers, but the aspects of material data in the early South Korean region, such as stone gate earthenware, square earthenware, double-headed earthenware, etc., are different, so there is not a small difference of opinion among researchers on the genealogy, chronology, and development process of Gongryeol earthenware surrounding it. The proposal of cultural types has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discus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umun pottery era in South Korea. The cultural type is the result of organizing material culture and putting it in a certain time and space, and is also understood as a branch itself. As for the initially proposed cultural type, the contents continued to be changed, subdivided, and inclusive as data were added so far. As Rim-Perforated Pottery was also established as an Yeoksam-dong type, it underwent changes in many parts of the origin and chronology. Since the cultural type is a series of material complexes completed by itself,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ayered and dynamic aspects of the data under this concept. In order for the discussion on rim-perforated pottery to proceed, it is not necessary to grasp it as an element of the completed cultural type earthenware from the beginning, but to deal with the entir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as an Yeoksam-dong type in the earthenware at the first sight. Only at this time will we be able to examine the temporal location of rim-perforated pottery, regional variations, and the usefulness of the devised Yeoksam-dong type.

목차

Ⅰ. 머리말
Ⅱ. 공렬토기 연구의 남과 북
Ⅲ. 공렬토기 연구의 학사적 의의와 평가
Ⅳ. 대안: 남한지역 공렬토기의 초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훈(Jaehoon Hwang),김영은(Youngeun Kim). (2024).공렬토기의 기원과 편년에 대한 학사적 검토. 호서고고학, (), 173-203

MLA

황재훈(Jaehoon Hwang),김영은(Youngeun Kim). "공렬토기의 기원과 편년에 대한 학사적 검토." 호서고고학, (2024): 173-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