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원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중심취락의 변동과 지역사회

이용수 71

영문명
The Transition of Central Settlement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e Three Kingdoms Era in the Central Plains Region and Its Impact on Local Communities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장덕원(Duckwon Jang) 전영희(Younghee Jeon) 한선경(Seonkyung Ha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8집, 4~37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중원지역 중 충주의 원삼국~삼국시대 고고자료를 바탕으로 중심취락 변화와 지역상을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취락의 시공간성을 검토하였다. 그다음에는 SNA를 활용하여 취락을 분류한 후 시기별 중심취락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충주지역 자료는 다른 지역보다 적고 구성요소 성격이 단순하여, 시기는 백제, 고구려, 신라 진출시점을 기준으로 삼았다. Ⅰ기(4세기 중엽 이전)에는 금릉동을 위시한 탄금대토성과 칠금동이 중심취락 역할을 하였다. Ⅱ기(4세기 중엽~6세기 전엽)에는 백제에 의해 형성된 탑평리와 탑평리 352-3번지(황새머리)가 중심취락 역할을 하였는데, 이전의 탄금대토성과 칠금동은 철생산 취락으로 지속되었다. 그리고 칠금동을 중심으로 백제는 대화리와 용교리 즉 동-서에 철생산 시설을 확장하였다. 한편 고구려 진출 이후에도 탑평리는 중심지 역할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그 사이 고구려는 두정리와 단월동에 무덤과 주거를 남겨 충주를 장기적으로 점유한 정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Ⅲ기(6세기 중엽 이후)가 되면 신라는 충주에 진출한다.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가 점유한 탑평리를 중심취락으로 이용하였으며, 백제 황새머리와 인접한 누암리와 하구암리에 중심 무덤군을 조성하였다. 이때 신라는 탑평리·누암리·하구암리를 중심으로 주변취락을 확대하였는데, 이것은 백제와 고구려 점유때보다 더 확장된 모습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Ⅲ기 늦은 7세기 중엽 이후에는 단월동 무덤이 부각되어, 중심지는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요컨대 충주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중심취락은 금릉동·탄금대·칠금동(원삼국, 동쪽) → 탑평리·탑평리352-3번지(황새머리)(백제, 서쪽) → 탑평리·두정리(고구려, 서쪽) → 탑평리·누암리·하구암리(신라, 서쪽) → 단월동(신라, 동쪽) 순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중심취락 변화는 약간 차이점이 있었는데, 백제는 나성리, 북수리, 복용동처럼 마한세력을 근거리에서 감시하거나 역이용하기 위해 탑평리 일대에 중심취락을 조성하였다. 반면 고구려와 신라는 백제 중심취락인 탑평리 일대를 그대로 이용하였는데, 이것은 이전 세력의 약화와 제재를 위한 조치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with the aim of classifying the settlements in the Chungju area of the Central Plains region, utilizing the recently introduc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Korean archaeology, and examining the transitions of settlemen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e Three Kingdoms Era. Settlements in the Chungju area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numerically smaller than those in Cheongju. Therefore, the periodization is based on the expansion periods of Baekje, Goguryeo, and Silla: Phase I (before the mid-4th century), PhaseⅡ(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late 6th century), and PhaseⅢ(after the mid-6th century). During Phase I, Geumneung-dong functioned as the central settlement with Tangeumdae-Fortress and Chilgeum-dong playing significant roles in the Mahan Central Settlement. During PhaseⅡ, with the expansion of Baekje, Tappyeong-ri emerged as a central settlement, utilizing the alluvial lands and hillsides for residential and burial purposes. Tangeumdae Fortress and Chilgeum-dong continued their roles as iron production sites from Phase I. Meanwhile, Baekje left its identity in the Hwangsae-maeri tomb cluster. In PhaseⅡ, iron production by Baekje expanded east to west from Tappyeong-ri. Despite the Goguryeo expansion, Tappyeong-ri continued to serve as a central hub. Additionally, evidence of Goguryeo-related tombs and residences in Dujeong-ri and Danwol-dong suggests a prolonged Goguryeo occupation in the Chungju area. However, in PhaseⅢ, Chungju witnessed the expansion of Silla. Silla utilized Tappyeong-ri, previously occupied by Baekje and Goguryeo, as its central settlement and established a central tomb cluster in Nuam-ri and Haguam-ri. Recently reported remains at 445-1 Tappyeong-ri indicate a broader extent of settlement in Tappyeong-ri, suggesting its continued significance as a central settlement even after the Silla expansion. During this period, surrounding settlements around Tappyeong-ri, Nuam-ri, and Haguam-ri expanded even further compared to Phases I andⅡ. However, in the late 7th century of PhaseⅢ, Danwol-dong emerged prominently, indicating a shift of the central hub towards the east. In essence, the central settlements in the Chungju area evolved from Geumneung-dong, Tangeumdae, and Chilgeum-dong (East) to Tappyeong-ri, Nuam-ri, and Haguam-ri (West), and finally to Danwol-dong (East). This transformation correlates with the expansion processes of the Three Kingdoms era follow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and positioning of the central settlements among the Three Kingdoms. Specifically, Baekje chose locations reflecting intentions to monitor or exploit nearby Mahan forces, while Goguryeo and Silla directly occupied Tappyeong-ri. This is interpreted as a measure to counteract the weakening and containment of previous powers.

목차

Ⅰ. 머리말
Ⅱ. 취락유적 시공간성 검토
Ⅲ. SNA를 활용한 취락분류
Ⅳ. 중심취락 변천과 지역사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덕원(Duckwon Jang),전영희(Younghee Jeon),한선경(Seonkyung Han). (2024).중원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중심취락의 변동과 지역사회. 호서고고학, (), 4-37

MLA

장덕원(Duckwon Jang),전영희(Younghee Jeon),한선경(Seonkyung Han). "중원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중심취락의 변동과 지역사회." 호서고고학, (2024): 4-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