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의 한자 수용과 문서 행정 시기

이용수 40

영문명
Debating the Origins and Chronology of Rim-Perforated Pottery Baekje’s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document administration period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조진석(Jinseok Cho)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8집, 38~6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백제의 한자 수용과 문서 행정 시기를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먼저, 백제의 한자 수용 시기는 백제 구성 집단의 한자 수용 여부와 시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백제는 부여ㆍ고구려계 이주민 집단의 지배계층과 한족과 예족의 피지배계층으로 구성되었다. 백제 지배 집단은 건국 시부터 한자를 수용하여 문서 행정을 시작하였던 고구려에서 갈라져 나왔다. 백제 지배 집단 역시 한때 고구려의 지배 집단으로서 한자와 문서 행정에 대해 알고 있었다. 더욱이 백제 지배 집단은 철저한 문서 행정을 시행했던 한사군지역을 지나 한강 유역에 터를 잡았으므로, 한자와 문서 행정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 백제 피지배계층이었던 한족과 예족이 중심에 되어 한강 유역에 먼저 자리 잡고 있었던 진·마한 역시 중국 역사의 혼란기마다 유입된 중국 유민들의 영향과 한사군과의 교류를 통해 한자를 수용하고 있었으며, 한사군의 문서 행정을 알고 또는 참여하고 있었다. 이처럼 백제의 지배계층, 피지배계층 모두 한자를 수용하였기 때문에 백제는 건국 초기부터 한자를 수용하고 사용하였다. 백제의 문서 행정 관련해서 언급되는 『삼국사기』 근초고왕 30년조의 ‘서기’는 기록의 시작이 아닌 역사 기록의 시작으로 이해하였다. 백제의 문서 행정의 시작을 알려주는 직접적인 기록이 없어 백제 문서 행정의 시작을 전제로 하는 역사적 사실들을 검토하여 문서 행정의 시작 시기를 추론하였다. 교육기관 설립 및 역사서의 편찬은 근초고왕대 이루어졌다. 그리고 한성시대 명문 관련 고고학 자료들은 대체로 4세기 이후의 유물로 평가된다. 이는 문서 행정이 기존의 이해처럼 근초고왕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도명(道(直)名) 전돌, 백제 율령제와 관등제 실시 시기, 중국 및 군현과의 외교 관계를 보면, 백제 문서 행정의 시작은 고이왕대로 올려 볼 여지가 있다. 시기를 한정하면, 최소한 관등제가 시행되는 고이왕 27년, 260년부터는 백제 문서 행정이 시작되었다.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고이왕 7년(240) 좌장을 설치하여, 중앙과 지방의 군사권을 정비하였던 이때부터 문서 행정을 시행했을 수도 있다. 중앙과 지방의 군사권 정비는 백제 모든 군대의 군령ㆍ군정권 일원화를 의미하며, 이는 명확한 문서 행정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Baekje showed mature Chinese literature, such as writing poetry and literature using Chinese characters, no different from China, in the Sabi era. And document administration was thoroughly implemented. However, The period of Baekje's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administration of documents cannot be specified due to a lack of related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or it tends to be considered too late as the period of King Geunchogo, so I wrote this article to look into it. Baekje's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was examined through whether and when the Baekje constituent group accepted Chinese characters. Baekje was composed of the ruling class of the Buyeo and Goguryeo migrant groups and the under-dominated class of the Han tribes and Ye tribes. The Baekje ruling group split from Goguryeo, which accept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time of its founding and started document administration. The Baekje ruling group also knew about Chinese characters and document administration as the ruling group of Goguryeo at one time. Moreover, the Baekje ruling group established a site in the Han River basin after passing through the Chinese county area, where thorough document administration was implemented. The Baekje ruling group had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document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Han and Ye tribes, which were the dominant class of Baekje, were at the center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Jin and Han societies, which were first located in the Han River basin, also accepted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influence of Chinese residents and exchanges with Hansa-gun during each period of chaos in Chinese history, and knew or participated in the document administration of Chinese county. Baekje accepted and us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because both the ruling and under-dominated groups of Baekje accepted Chinese characters. Since there was no direct record of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in Baekje,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was inferred by reviewing historical facts that presuppose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in Baekje.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n addition,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inscriptions from the Hanseong period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from the 4th century or later. This can be said to have begun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from the time of King Geuncho's reign, as previous understanding. However, looking at the floor stone of the 道(直) name, the period of implementation of Baekje's ritual system and official ranking system,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counties, there is room to place the beginning of Baekje's document administration in the reign of King Goi. If we limit the period, Baekje document administration began at least from 260, the 27th year of King Goi's reign, when the official rank system was implemented. If interpreted more positively, document administration may have been implemented from the 7th year of King Goi's reign (240), when the military commander was established and the military authority of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was reorganized. The reorganization of central and local military authority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command and control of all Baekje armies. This means unification of military government, and this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clear document administ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건국 집단의 한자 수용 시기
Ⅲ. 고이왕대 국가체제 정비와 문서 행정 시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석(Jinseok Cho). (2024).백제의 한자 수용과 문서 행정 시기. 호서고고학, (), 38-62

MLA

조진석(Jinseok Cho). "백제의 한자 수용과 문서 행정 시기." 호서고고학, (2024): 38-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