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7

영문명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n SNS fatigu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영미(Young Mi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1호, 77~8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과 SNS 피로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9월 30일부터 10월 7일까지 대학생 온라인커뮤니티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설문도구는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 SNS 피로감이며 연구대상자의 수는 G power 3.1.9를 통해 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평균 3.19±0.30점(5점 만점), 상대적 박탈감 점수는 평균 3.19±0.38점(5점 만점), 대인관계능력 점수는 3.66±0.50점(5점 만점), SNS 피로감은 2.97±0.61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SNS 피로감은 상대적 박탈감(r=.232, p=.002)과 양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r=-.351, p<.001)와 대인관계능력(r=-.311,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SNS 피로감에 대한 설명력은 16.5%(F=6.581, (p<.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SNS 이용자의 개인적 차원에서 부작용을 줄이고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와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NS fatigue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SNS fatigu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K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7, 2020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tools was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NS fatigue, and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calculated through G power 3.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1.0 program. As a result, self-esteem score was 3.19±0.30, the relative deprivation score was 3.19±0.38,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ore was 3.66±0.50, and SNS fatigue was 2.97±0.61. SNS fatig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ve deprivation(r=.232, p=.002), SNS fatigue and self-esteem(r=-.351, p<.001) and SNS fatigu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r=-.311,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SNS fatigue was 16.5%(F = 6.581, (p<.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reduce side effects and maximize utility at the individual level of SNS users an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미(Young Mi Kim). (2024).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77-88

MLA

김영미(Young Mi Kim).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4): 77-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