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용수 58

영문명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and Spatial Structural Factors on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 in Gyeongsangbuk-do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현문환(Moon Hwan Hyun) 이세명(Se Myeoung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1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재오인출동이 많으면 긴급을 다투는 상황에서 정작 도움을 못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재오인신고를 줄이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내 327개 행정동의 인구밀도, 연령대별 인구수, 화재건수를 사회구조적 변수로 설정하였고 토지의 주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한 법률상 명칭인 지목을 공간구조적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OLS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이 모형에 내재된 비정규성과 이분산성을 Jarque-Bera와 Breusch-Pagan 그리고 Koenker-Bassett 통계량을 통해 검증한 후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MGWR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역적 관점에서는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화재오인신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사회 및 공간구조 변수는 화재건수, 인구밀도, 60세 이상 인구, 답/대지/도로/임야/잡종지/공장 면적으로 총 아홉 가지로 나타났으며 이 중 화재건수, 60세 이상 인구, 대지/도로/공장 면적은 양(positive)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밀도, 답/임야/잡종지 면적은 음(negative)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지적 관점에서는 각 변수들의 회귀계수값이 행정동별로 그 강도와 방향에서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각 행정동별로 영향력이 큰 요인들을 분석하고 차별화된 대책을 마련한다면 화재오인신고를 의미있게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된다.

영문 초록

If there are many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s, it may be possible that people do not receive fire ser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reduce the number of them. In this study, for 327 administrative dongs in Gyeongsangbuk-do,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by age group, and number of fires were set as social structural variables , and land category of the legal name divided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use of the land was set as a spatial structural variable, and the effect of these on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s was analyzed. As an analysis method, the OLS model was first applied, and the inherent nonnormality and heteroscedasticity of this model have been verified by Jarque-Bera, Breusch-Pagan, and Koenker-Bassett statistics and then the MGWR model was applied to consider spatial corre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rom a global perspective, the social and spatial structur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s in Gyeongsangbuk-do were found to be a total of nine types: the number of fires,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over 60 years old, and the area of field/site/road/forest/ miscellaneous land/factory. the number of fires, the population over 60 years old, and the area of site/road/factor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e population density, the area of field/forest/miscellaneous land had a negative effect. From a local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of each variable differed considerably in their direction and intensity by administrative dong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judged that if the factor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each administrative dong are analyzed and differentiated measures are prepared, it will be possible to meaningfully reduce the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문환(Moon Hwan Hyun),이세명(Se Myeoung Lee). (2024).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안전문화연구, (), 1-16

MLA

현문환(Moon Hwan Hyun),이세명(Se Myeoung Lee). "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안전문화연구, (2024):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