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낙상사고의 근접오류 및 적신호사건에 대한 분석
이용수 247
- 영문명
- Analysis of Near Miss and Sentinel Incidents in Elderly Fall Accidents: Using the Korean Patient Safety Reporting Learning System data(2020∼2022)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 Ji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1호, 35~4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의 노인 낙상사고의 근접오류 및 적신호사건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의 데이터를 활용한 2차 자료분석연구이다. 방법: 국내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에서 60세 이상의 노인 낙상사고 13,29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위해사건에 비해 근접오류 발생과 관련된 요인은 재활 및 물리치료실 3.18배(95% CI=2.35∼4.29,p<.001), 신경 및 신경외과 1.61배(95% CI=1.41∼1.84, p<.001), 상급종합병원 3.08배(95% CI= 2.53∼3.62, p<.001) 높았다. 위해사건보다 적신호사건 발생과 관련된 요인은 재활치료실 및 물리치료실에서 2.90배(95% CI=1.94~4.33, p<.001), 외래, 검사실, 주사실 및 처치실에서 2.46배(95% CI=2.06~2.95, p<.001) 높았으며 요양병원에 비해 종합병원은 0.42배(95% CI=0.37~0.49, p<.001) 낮았다. 결론: 노인 낙상사고를 줄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낙상사고에 대한 자발적 보고가 활성화되고 낙상사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낙상사고의 위해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낙상중재와 관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harm and related factors of fall accidents in Korea. Method: This study performed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secondary research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Patient Safety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and analyzed 13,292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from 2020 to 2022 by using chi-square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near misses compared to adverse inci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departments(OR=3.18, 95% CI=2.35∼4.29, p<.001), neurology and neurosurgery departments(OR=1.61, 95% CI=1.41∼1.84, p<.001), and advance general hospitals(OR=3.80, 95% CI= 2.53∼3.62, p<.001).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sentinel incidents compared to adverse incidents were higher in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departments(OR=2.90, 95% CI=1.944.33, p<.001), outpatient, examination, injection and treatment rooms(OR=2.46, 95% CI=2.06∼2.95, p<.001) were lower in general hospitals compared to nursing homes(OR=0.42, 95% CI=0.37~0.49, p<.001).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falls accidents in the elderly, voluntary reporting of near misses, adverse incidents and sentinel incidents, sharing of information about them, and differentiated fall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rm from falls are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청소년기 학업성취와 자존감이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인과관계종단분석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 방위산업체 종사자 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실증연구
- 의료봉사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봉사활동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한·몽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비교연구
- 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 남성 버츄얼휴먼의 특성이 소비자태도와 불쾌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낙상사고의 근접오류 및 적신호사건에 대한 분석
- 노인수형자에 대한 인지강화프로그램의 실태와 방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조선소 안전환경 구축을 위한 AIoT 기반의 CCTV 3D영상 및 증간현실디자인기술 구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