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SNS Overdependence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지경(Ji Kyeong Park) 김지온(Ji O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1호, 65~7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 과의존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SNS 과의존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일개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Google Forms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24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SNS 과의존 정도는 2.12점(4점 만점)이었으며 여학생과 SNS 사용시간이 길수록 SNS 과의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감은 3.39점(5점 만점)이었으며 남학생의 자기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감은 SNS 과의존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자기통제감을 높이고 SNS 과의존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성별과 SNS 이용시간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reduce the risk of college students' SNS overdependence by confirming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on SNS overdependence at a time when SNS overdependence is being raised as a new social probl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to university students in one area, and 247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NS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2.12 points (out of 4), and the female and the longer the time spent using SNS, the higher the SNS overdependence. The self-control was 3.39 points (out of 5), and male appeared to have a higher self-control. Second, self-control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NS overdepend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gender and SNS usage time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and reduce the risk of SNS overdepen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청소년기 학업성취와 자존감이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인과관계종단분석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 방위산업체 종사자 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실증연구
- 의료봉사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봉사활동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한·몽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비교연구
- 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 남성 버츄얼휴먼의 특성이 소비자태도와 불쾌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낙상사고의 근접오류 및 적신호사건에 대한 분석
- 노인수형자에 대한 인지강화프로그램의 실태와 방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조선소 안전환경 구축을 위한 AIoT 기반의 CCTV 3D영상 및 증간현실디자인기술 구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