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의 근현대고고학 개념 정립과 전망

이용수 80

영문명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the Settlement of Contemporary Archaeology in South Korea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동일(Dongil Kim)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4권, 135~17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의 근현대고고학은 근현대에 형성된 물질자료를 대상으로 한 고고학이다. 서구 고고학계에서 근현대고고학은 20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다. 반면,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근현대 물질자료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고, 2020년부터는 근현대고고학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문제는 지표아래에 위치한 근대 자료만이 조사되었고,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극히 일부 사례에서만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현대고고학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근현대고고학의 하위 분야에는 산업고고학을 비롯하여, 디지털고고학과 전적지고고학, 전쟁고고학, 해양고고학, 미디어고고학, 종교고고학, 취락고고학 등이 있다. 근현대고고학은 1876년 개항을 시작으로 그 이후에 형성된 물질자료를 대상으로 하고, 역사적인 사건이나 급격한 물질문화의 변동에 따라 네 분기로 나눌 수 있다. 근현대고고학의 공간적인 범위는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고, 이와 관련된 사건을 토대로 한반도 주변지역까지이다. 근현대고고학은 기존의 선·역사시대 고고학과 ‘연구 방법’이나 ‘연구 목적’ 등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형식학적 방법을 비롯하여 연대결정법, 유물과 유구의 용도, 교류 관계 등에 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여 왔고, 이 때문에 이와는 다른 방향의 연구가 고고학적 연구처럼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근현대고고학 연구의 세부 목적은 ① 산업화 과정에 대한 연구, ② 일제강점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③ 제도 개선에 대한 문제 연구, ④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⑤ 근현대 종교·전적지·미디어고고학 등에 대한 접근, ⑥ 전시와 보존에 대한 연구, ⑦ 학제간 연구를 위한 고고학 자료의 해제 등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내학계에도 근현대고고학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고, 그 인식이 확산되어 이것이 국내학계에 정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Archaeology has become more active globally since the mid 20th century. As of 2010, archeological investigation into contemporary archaeology material culture has rapidly grown in South Korea as well. However, in South Korea, contemporary data that are only under the surface were investigated, and except for Seoul, a very small part of the regions in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cheology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situation of South Korea and to settle it in the academic world. Subdivisions of Contemporary Archeology include Industrial Archaeology, Digital Archaeology, Media Archaeology, Battlefield Archaeology, Conflict Archaeology, Religious Archaeology, Settlement Archaeology, and so forth.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Archaeology is based on the data formed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and its periodization can be set up depending on the historical events or rapid changes in material culture. The spacial scope of Contemporary Archaeolog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Korean peninsula, but its surrounding areas should also be reviewed based on the cas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Contemporary Archaeology significantly differs from other general prehistoric and historical archeology in research methods or research processes. Especially, since the current typology, dating methods, the use of artifacts and remains, and intercultural relations have been the ones typically considered as archeology in most of East Asia, it may not seem like archeology research to research just the other parts of the study than the ones mentioned above. Due to this situation, a clear direction is needed when it comes to Contemporary Archaeology. Some of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research on industrialization process, (2)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Japanese Colonial Rule, (3) problems in system improvement, (4) research on investigation methods, (5) approach as to contemporary archeology in religion, battlefield, media, etc. (6) research on exhibition and preservation, and (7) the release of archaeological data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conclusion, through these attempts, domestic academia of South Korea will be aware of Contemporary Archaeology in a deeper level, and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chaeology will be settled in the domestic academ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n Contemporary Archae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근현대고고학의 국외 연구동향
Ⅲ. 한국에서의 근현대고고학 정립
Ⅳ. 방법론 시론
Ⅴ. 앞으로의 전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Dongil Kim). (2024).한국에서의 근현대고고학 개념 정립과 전망. 고고광장, (), 135-176

MLA

김동일(Dongil Kim). "한국에서의 근현대고고학 개념 정립과 전망." 고고광장, (2024): 135-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