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고자료로 본 의례ㆍ종교 공간과 권력

이용수 63

영문명
Ritual and Religious Space and Power thr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양은경(Eun Gyeng Yang)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4권, 113~1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의례ㆍ제사는 한국 고고학 연구자들의 관심과 주목을 이끄는 연구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은 여전히 무덤이 주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범위 역시 하나의 시기에 포커스를 맞춘 이유로 인해 그 한계성은 인지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미시적인 관점이 아닌 거시적인 관점에서 연구대상의 시ㆍ공간적인 범위를 설정하고 검토하고자 노력하였다. 무엇보다 본고는 권력과 연관된 의례공간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공간(장소)을 기준으로 크게 두 유형, 즉 ⽣(삶)의 공간ㆍ死(죽음)의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선사와 역사시대 간 계승ㆍ발전ㆍ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삶)의 공간을 대표하는 유구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원형 혹은 타원형의 평면형태를 가진 환구이고 다른 하나는 방형 혹은 팔각의 평면형태를 가진 신궁(사당)이다. 전자는 권력을 행사한 천군의 세력과 연결되기도 하지만 삼국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약해진다. 후자는 조상신 혹은 시조묘로 대표되는 국가 최고 권력자와의 밀착성이 강조되어 온다. 환구와 신궁은 불교의 유입ㆍ발전과 더불어 소멸하거나 그 영향력이 축소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특히 왕실과 밀착된 왕궁 내 불교시설인 내도량의 부상은 최고 권력과 의례장소 간 변화상은 물론이고 중국ㆍ일본과는 차별화된 우리 문화의 특수성까지도 시사하고 있다. 사(죽음)의 공간의 경우, 최근 들어 지석묘 묘역에 남겨진 유구를 제단시설로 유추하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청동기~원삼국시대 무덤 주변에서는 의례와 연결된 구체적인 건조물 유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도 문헌기록에 언급된 廟祀가 구체적인 고고자료로 확인된 바는 없다. 다만 여전히 논쟁중에 있는 무덤 주변의 적석유구를 비롯한 기단과 연접한 석축시설을 제사시설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조속한 결론을 기대해 본다. 그런데 고대 권력을 상징하는 무덤제사는 불교의 전래와 더불어 변화를 보이는데, 고분 주변에 건립된 불교사찰, 즉 陵寺를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할 수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향후과제와 지향할 바에 대해 연구자의 관심과 연구대상에 대한 시각 확대, 고고자료의 다각화 시도, 의례와 제사에 수반된 음식문화 복원, 인접 학문분야와 주변 국가의 연구 동향 주시라는 4가지 사실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의례ㆍ제사라는 연구주제는 우리 문화의 물질문화를 포함한 정신문화를 복원하는데 좋은 연구대상이 되는 이유로 인해, 향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진전을 희망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rituals and ancestral rites have emerged as research topics that attract attention from Korean archaeological researchers.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nd review the temporal and spatial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rather than the existing microscopic perspective. Above all,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ceremonial spaces related to power, the author divided them into two types based on space (place): space of life and space of death, and succession and space between prehistoric and historical periods. We want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change patterns. Remains representing the space of life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spheres with a circular or oval plan shape, and shrines with a special plan shape such as a square or octagon. The former is sometimes connected to the forces of heaven that exercised power, but its importance weake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latter, the closeness with the highest authority of the country, represented by ancestral spirits or progenitor graves,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the Hwanggu and the Shinto shrine face a new phase, with the Hwanggu disappearing and the shrine also decreasing its influence. In particular, the rise of Naedoryang, a Buddhist facility within the royal palace that was closely tied to the royal family, not only suggests the changes between supreme power and ceremonial places, but also the uniqueness of our culture,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In the case of the space of death (death), the view that the remains left in the graveyard of the stone tombs were inferred to be altar facilities has recently been presented, but no specific remains of structures connected to rituals have been discovered around tombs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hrine mentioned in literary records has not yet been confirmed with specific archaeological data. However, we look forward to a speedy conclusion on whether stone structures adjacent to the foundation, including the red stone remains around the tomb, which are still under debate, can be considered ceremonial facilities. However, grave rites, which symbolized ancient power, brought about change and transformatio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the Buddhist temple built around the ancient tomb, that is, Jinji Temple, can be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last chapter discusses four facts about future tasks and directions: expanding researchers' interests and perspectives on research subjects, attempting to diversify archaeological materials, restoring food culture accompanying rituals and ancestral rites, and observing research trends in adjacent academic fields and neighboring countries. was presented briefly. Because the research topic of rituals and ancestral rites is a good research subject for restoring the spiritual culture, including the material culture of our culture, continued interest from researchers is required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move further in a developmental dire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삶)의 공간과 권력
Ⅲ. 死(죽음)의 공간과 권력
Ⅳ. 향후과제와 지향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Eun Gyeng Yang). (2024).고고자료로 본 의례ㆍ종교 공간과 권력. 고고광장, (), 113-134

MLA

양은경(Eun Gyeng Yang). "고고자료로 본 의례ㆍ종교 공간과 권력." 고고광장, (2024): 113-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