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明⼑錢考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Knife Money(Myeongdojeon)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유정(Yujeong Kim) 이창희(Changhee Lee)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4권, 47~8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도전은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에서 주조되기 시작한 화폐지만, 진(秦)·한(漢)으로 통일 교체되는 과정에서 중국 동북지방부터 한반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긴 시간 동안 시공간을 달리하며 변화한다. 명도전은 한국고고학에서도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점토대토기의 출현 시점을 다루거나 초기철기시대가 설정되는 경위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나아가 연의 동방진출, 연과 고조선의 관계 등 역사적 배경과 함께 다루어지면서 다른 고고자료의 출현 시기를 비정하는 근거로도 작용해 왔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명도전 자체에 대한 연구가 상세히 이루어진 바가 없어 이번에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이라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명도전을 집성하여 그 성격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보다 상세한 명도전의 분류를 통해 시공성을 검토한 결과, 본고에서 분류한 형식 및 계측적 속성을 통해 분포양상의 차이와 형식의 변화양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퇴장유적이 다수 확인되는 한반도 서북부지역에서는 시간을 달리하는 다양한 명도전이 뒤섞여 확인되는 사실이 명확해졌으며, 이를 통해 명도전의 기능과 성격이 변화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명도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의 주변지역에서도 독자적으로 발행되기 시작했지만 화폐로서의 가치는 점차 하락되어 갔는데, 이러한 과정을 현대의 인플레이션 현상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요동 파천(播遷), 진나라의 통일과 화폐개혁 등 역사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연의 중심지가 아닌 주변지역에서는 화폐의 기능을 상실하면서도 청동 금속이라는 명도전 특유의 물성으로 인해 교환가치재로서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었다. 또한 명도전은 유물의 전세(傳世)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화폐가 부여해 줄 수 있는 상한연대조차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한 성격으로 인해 철기와 같은 다른 유물이나 유적·유구의 연대를 가늠하는 타임스케일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The knife money (Myeongdojeon) was a currency that began to be minted in the Yan state during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It was used over a long period in a wide region extending from northeastern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archaeology, particularly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細形銅劍) culture, the emergence of pottery with a clay band rim (粘⼟帶⼟器), and the setting of the early Iron Age. Despite its importance, research on knife money itself has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compiles knife mone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classified knife money based on its metric and nominal attribut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ous types of knife money existed over time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many sites of hoarded remains have been confirmed. This indicates that the function and nature of knife money changed over time. Knife money was independently issued in the Yan’s surrounding region, but its value as currency gradually decline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a result of inflation, likely caused by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Liaodong, the unification of China by the Qin state, and subsequent currency reforms. In the surrounding regions, although the coins lost their function as currency, their unique property as bronze metal led to the creation of new value as an exchange medium. Knife money not only presents issues regarding the transmission of artifacts but also leaves the upper chronological limit provided by the coin itself unclear. Additionally, as time passes and the nature of the coin changes, it becomes difficult to estimate the dates of other artifacts, such as ironware, and archaeological sites and remains.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 출토 명도전 현황
Ⅲ. 명도전의 형식분류와 주요 유적 검토
Ⅳ. 명도전의 성격과 의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정(Yujeong Kim),이창희(Changhee Lee). (2024).明⼑錢考. 고고광장, (), 47-82

MLA

김유정(Yujeong Kim),이창희(Changhee Lee). "明⼑錢考." 고고광장, (2024): 4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