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단야시설을 통해 본

이용수 20

영문명
Analogy of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Southea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Blacksmith's Facilities in Northern Kyushu Region in the Yayoi Period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상민(Sang-min Kim)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4권, 83~1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원 1세기 이후 한반도 동남부지역은 목곽묘와 판상철부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철기문화가 확립된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동시기 철기생산유적의 조사성과는 유적 내 출토된 철기의 양질에 비해 미치지 못한다. 본고는 동남부지역 기원 1~3세기 철기생산유적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해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의 철기생산유구와 관련유물을 검토하여, 동시기 한반도 동남부지역의 철기생산기술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의 철기생산은 한반도 동남부지역의 영향으로 철기생산기술이 도입된 이후 두 번의 획기를 거쳐 변화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야요이시대 후기 북부규슈지역에서 등장하는 주거지내 지하시설이 발달한 6유형, 옥외 단야시설인 7유형은 북부규슈지역 고유의 특색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하지만 6유형의 단야시설은 동남부지역의 늑도유적에서 보이는 옥외시설인 4유형의 단야시설과 관련되며, 북부규슈지역 내 주거지 내부로 적용 · 변용의 사례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7유형 단야시설은 지상식 벽면을 갖춘 것으로 정련단야를 염두한 기술이 상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 동남부지역 내 옥외시설로서 단야시설이 선행한다는 점, 도서·해안지역 패총 취락 내 단야시설과 유사성이 있다는 점, 7유형이 북부규슈지역의 초입인 이키섬에서만 확인된다는 점을 근거로 동시기 동남부지역에도 7유형과 유사한 단야시설이 존재할 수도 있다고 추정하였다. 동남부지역 패총 취락 내 단야시설은 7유형과 유사성이 보이는데, 특히 부산 낙민동패총에서 확인되는 고온조업을 상정할 수 있는 관련유구와 유물은 기원 1세기 이후 동남부지역 철생산기술의 수준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패총 취락 내에서도 송풍관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점을 통해 공정에 따른 생산과 유통구조가 구축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동남부지역 철기생산과 유통구조 속에서 북부규슈지역은 일본열도 내 철생산기술의 도입되기 이전까지 한반도 동남부 도서·해안지역 내 생산된 철기 및 철소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exclusive ironware culture represented as Wood chamber and Flat iron axe was established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first century A.D. However, the investigation accomplishment of the contemporary ironware production remains having been identified so far is not comparable to the good quality of the ironware having been excavated from the remains. This manuscript checks the ironware production relics and relevant artifacts in the north Kyushu region in the Yayoi period to overcome the absence of ironware production remains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the first to three centuries A.D. to analogize the contemporary with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ronware production in the north Kyushu region in the Yayoi period changed over the two epochs after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was introduced due to the effect of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type 6 with advanced underground facilities within a dwelling and the type 7 as an outdoor blacksmith‘s facility emerge in the north Kyushu reg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Yayoi period s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yushu region. However, type 6 blacksmith’s facility is related to the type 4 blacksmith’s facility which is an outdoor facility shown in Nuk-do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d is possibly the case applied and changed to the inside of a dwelling in the north Kyushu region. Moreover, the type 7 blacksmith’s facility has ground type walls, and even technology reflecting refining and smith is presented. However, a blacksmith’s facility similar to the type 7 may also exist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terms that a blacksmith’s facility already precedes as an outdoor facility in the southeastern region, that there is a similarity to a blacksmith’s facility within a shell midden settlement in insular and coastal regions, and that they type 7 is found only from Iki Island located in the entrance of the north Kyushu region. A blacksmith’s facility within a shell mound settlement in the southeastern region shows similarity to the type 7. Especially, the level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southeastern region after the first century A.D. can be tracked through the relevant relics and artifacts presenting the high-temperature operation found in Busan Nakmin-dong Shell mound. Moreover,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were built on the basis of processes through the salient differences of tuyeres with in shell mound settlements. The ironware and iron materials produced in the southeastern insular and coastal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supplied to the north Kyushu region through the ironwar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 the southeastern region until the introduction of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Japanese Islands.

목차

Ⅰ. 머리말
Ⅱ.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철기생산유적의 연구와 유적 현황
Ⅲ.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철기생산유적의 검토
Ⅳ.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단야시설을 통해 본 철기생산의 기술적 함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민(Sang-min Kim). (2024).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단야시설을 통해 본. 고고광장, (), 83-112

MLA

김상민(Sang-min Kim). "야요이시대 북부규슈지역 단야시설을 통해 본." 고고광장, (2024): 8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