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간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전략

이용수 44

영문명
Strategies for Educational Use of Folktale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between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한새해(Sae-hae Ha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5권, 253~29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설화를 활용한 교육이 국내외 학습자 모두를 질적, 학문적 차원에서수렴, 수용하는 흥미로운 강좌로 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현재 국내 대학 내유학생 유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유학생과 내국인 학생이 함께 수강하는 강의 역시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학 내 현장에서는 유학생과 내국인 학생 간 필연적일수밖에 없는 교육 격차가 벌어지고 있으며, 저마다의 입장에서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설화의 교육적 활용은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양 구성원들의 참여를 극대화하고, 상호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때활용되는 텍스트는 한국의 설화뿐 아니라 타국/모국의 설화가 선택될 수 있으며, 수강생은 해당 설화를 교수자와 함께 능동적으로 ‘읽기-듣기-쓰기-말하기’의 과정을 거치며 습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습 방안은 유학생 및 국내 학생 모두에게옛이야기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동시에 한국의 전통성과 고유성을 이해하는 기회로확장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이에 구체적인 강의 계획과 관련 자료를 소개하고, 최종 결과물로 제출된 학습자들의 발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설화 교육이 함의하고 있는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까지 논의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학부 유학생을 위한 교육 방안은 이제 유학생만을 위한 것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내ㆍ외국인 학습자 모두를 융합하는 다방면의 기초 연구 방안으로 확장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바이다. 이러한 학습 방안은 지속해서 유입되는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 교육을 위한 전방위적 문제로 확대되기에 충분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논의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notes that the use of folktales, especially among classical literature, can be used as an interesting course to converge and accept both domestic and foreign learners at the qualitative and academic level. As the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increases, the number of lectures taken by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s also increasing. However, in the field of universities, there is an inevitable educational gap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this situ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use of folktales maximizes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and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The text used at this time can be selected not only from Korea but also from other countries/mother countries, and the student actively learns the story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listeningwriting-speaking’ with the instructor. It is judged that such a learning plan can confirm the universality of the old story for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ents and expand it to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ity and uniqueness of Korea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by introducing specific lecture plans and related materials, and analyzing resentations of learners submitted as final results, we will discuss the future-oriented development direction that this folktales education implies.

목차

1. 들어가며
2. 학부 유학생 현황 및 교육 변화의 필요성
3. 왜 모국 설화인가?
4. 국내외 학습자의 상생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새해(Sae-hae Han). (2024).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간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전략.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253-296

MLA

한새해(Sae-hae Han).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간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전략."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4): 253-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