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창작의 실제

이용수 69

영문명
The Practice of Creative Content Based on Classical Literature: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Assignments of Department of Media Storytelli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신윤경(Yun-kyung Sh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5권, 41~7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디어스토리텔링과 학생들이 <고전문학과디지털콘텐츠> 교과목에 제출한 과제물을 분석하여 고전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활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 교과목의 목표를 간단히 말하자면 고전문학의 서사, 인물을 변용하여 새로운문화콘텐츠 서사로 창작할 것을 제안하고 학생들은 텍스트 이해, 자료조사, 기획, 매체선정, 스토리 확정, 매체에 따른 콘텐츠를 완성하는 것이다. 과제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차용, 확장, 수정, 매시업 하는데에 주저함이 없다. 콘텐츠에 필요한 서사 일부를 거침없이 잘라서 자신이 기획한인물 중심의 서사에 끼워넣는 경향이 강하다. 둘째, 인물의 특성과 인물 서사에 관심을 보인다. 거시적 안목으로 해당 고전문학의 서사 전체를 다루기보다 인물 중심의소소한 서사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특성을 보인다. 셋째, 우리 주변에 만연해 있는사회문제를 자신들의 작품 안으로 끌어오려는 주제적 접근을 시도한다. 다만, 콘텐츠를 시각적 이미지로 구현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고 기획했던 매체를 웹소설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은 점은 아쉽다. 학생들은 고전문학을 배우는 학습자이면서 동시에 콘텐츠를 생산하는 창작자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고전문학은 어렵고 고리타분하다는 선입견을 떨치고 다양하고 신이한 스토리와 캐릭터가 가득하다는 깨달음에서 고전읽기의 즐거움을 느끼고 이를 다시 다양한 매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매체 특성과 트랜스스토리텔링의 특성을 학습하게 된다. 교수자는 매체의 다양한 활용을 독려하되 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친숙하게 여기고 창작의 소재를 얻는 소중한 자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assignments submitted by students in the Media Storytelling Department to the course and examines students'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udents' assign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hesitation in borrowing, expanding, revising, or mash-up.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cut out some of the narratives necessary for the content without hesitation and insert them into the person-centered narrative he planned. Second, they show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the person's narrative.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y show the characteristic of paying more attention to small narratives centered on characters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entire narrativ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Third, we try a thematic approach to bring the social problems that are prevalent around us into their works.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lanned medium is converted into web novels after feeling pressure to implement the content as a visual image. Students play two roles: learner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reators who produce content at the same time. Classical literature dispels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difficult and bizarre, and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trans storytelling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it back to various media, feeling the joy of reading classics from the realization that it is full of diverse and novel stories and characters. Instructors should encourage the diverse use of media, but guide students to recognize classical literature as valuable materials to obtain creative materials.

목차

1. 들어가며
2. <고전문학과디지털콘텐츠> 교과목 수업 운영 사례
3. 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과제 분석과 그 의미
4. 고전문학 학습자의 콘텐츠 제작(자) 연습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윤경(Yun-kyung Shin). (2024).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창작의 실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41-72

MLA

신윤경(Yun-kyung Shin). "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창작의 실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4): 4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