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T/CT 검사에서 호흡법에 따른 PET과 CT 영상의 정합오차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Matched Errors between PET and CT Images in PET/CT Examination According to Breathing Protocols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상언(Sang Un Kim) 곽동우(Dong Woo Kwak) 박현수(Hyeon Soo Park) 방성애(Seong Ae Bang) 박영재(Yeong Jae Park) 이인원(In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7 No.1, 7~10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breathing protocols on matching results of PET and CT images using two breathing protocols such as free breathing and acquisition in holding the breathing after the normal expiration in acquiring 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Whole body FDG PET and CT images of 200 patients (mean age: 58 (range 20~84), 103 males and 97 females) using Discovery VCT (GE Healthcare, Milwaukee, USA). When taking CT images, subjects were asked to breathe freely (free breathing, n=100) or hold the breathing after the normal expiration (Hold, n=100). In the whole body image coronal section where PET and CT were matched, the matched error of the boundary between diaphragm and liver was measured in length. The matched erro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breathing protocol by age, sex and disease. The verific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made by SPSS 15.0 (SPSS Inc., Chicago, IL, USA) via one way ANOVA. Results: The matched error in all was 0.87 mm. According to breathing protoc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ched error as1.01 mm in free breathing and as 0.73 mm in hold breathing (p=.688). The matched error according to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s 1.08 mm of males, and 0.93 mm of females in free breathing (p=.517). In hold breath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0.79 mm of males and 0.66 mm of females (p=.73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ched error by age between free breathing and hold breathing (free breathing (p=.728), hold (p=.46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ched error by disease between free breathing and hold breathing (free breathing (p=.197), hold (p=.518)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matched error between free breathing and hold breathing was less than 5 mm at 9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ched error by breathing protocol, age and disease.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ched error between PET and CT images according to breathing protocol during PET/CT scan.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동영상 홍보물을 통한 의료서비스 향상에 관한 연구
- ²⁰¹Tl을 이용한 심근관류 SPECT에서 재구성 방법에 따른 작은 용적 심장의 정량 지표 변화
- 중복요관을 가진 소아환자의 ⁹⁹ᵐTc‐DMSA 검사에서 부분적 관심영역 설정에 따른 신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표준계수 측정 시 기하학적 요인이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섭취율에 미치는 영향
- ¹³¹I 치료입원실 폐기물 방사능 오염도 분석 및 자체처분가능일자 산출
- I‐131 치료시 환자의 신장기능과 다양한 요인으로 의한 퇴원선량 및 치료병실 오염도의 유의성에 관한 연구
- PET/CT 검사에서 횡격막에 의한 인공물의 CTAC Shift 보정방법의 유용성
- FDG PET/CT 검사 시 참고장기에서 측정한, 제지방체중으로 표준화한 표준화 섭취계수의 관찰자 사이 및 관찰자 내 재현성에 대한 연구
- 뇌병변 환자에서 흡인성 폐렴 진단을 위한 Salivagram의 유용성
- PET/CT 검사에서 호흡법에 따른 PET과 CT 영상의 정합오차
- 간동맥 화학 색전술에 사용하는 Lipiodol에 의한 감쇠 오차가 PET/CT검사에서 영상에 미치는 영향 평가
- Proinsulin 참고치 설정에 관한 연구
- SPECT/CT에서 CT를 기반으로 한 Attenuation Correction의 정확도 평가
- PET/CT 검사에서 비스무스(bismuth) 차폐체의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AFP 검사방법 단축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ttention UNet 모델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분할: IoU 기반 학습 및 AUC, MSE 평가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삼중수소 측정 신뢰성 검증을 위한 국제숙련도시험 결과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