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여성의 출산·육아서비스만족도와 지역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7
- 영문명
-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Childbirth·Childcare Social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Life 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Women - Focused 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ption of Social Safety -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정유(Jung Yoo Kim) 엄광진(Kwang Jin Eo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8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여성의 출산 · 육아서비스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지역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사회안전인식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가 실시한 ‘2022년 강원도 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20~30대 청년여성 296명이 응답한 자료를 SPSS 21.0와 PROCESS Macro 4.2(Model 4, Model 1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여성의 출산 · 육아서비스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생활만족도는 청년여성의 출산 · 육아서비스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여성의 출산 · 육아서비스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지역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사회안전인식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여성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social saf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hildbirth·childcare social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women. To do this, this study used the 2022 Gangwon provincial social survey data conducted by Gangwon provincial office. The sample consisted of 296 young women(20s-30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4.2(Model 4 and Model 1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hildbirth·childcare social servic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women. Second, a fully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life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hildbirth·childcare social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wome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hildbirth·childcare social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perception of social safety. Based on those study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관리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근로자들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피로와 스트레스의 원인 및 해결책 조사연구
- 보상제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한 현행 보험제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 청년여성의 출산·육아서비스만족도와 지역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비판적사고능력과 인간중심돌봄역량의 관계
- 감염관리담당인력을 위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급형 디지털컴패니언 로봇디자인연구
- 맞벌이가정의 부모급여제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제조업의 TBM활동이 안전요인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 안전보건성과 영향요인 연구
- 심폐소생술교육이 국내 거주 유학생의 안전수준 인식,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