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염관리담당인력을 위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al Program for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경미(Kyung Mi Kim) 김옥선(Og Son Kim) 최종림(Jong Rim Choi) 차경숙(Kyung Sook Cha)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8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염관리 담당자를 위한 감염관리교육 실태와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혼합하여 분석한 혼합연구이다, 의료법시행규칙에 따른 감염관리실 인력교육기관으로서의 기준을 충족하는 12개 기관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31일부터 11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9개 기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의사 6명과 간호사 6명을 대상으로 각각 별도로 진행하였다. 실태조사에 참여한 9개 기관에서 2022년 수행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은 총 31개였으며, 교육대상자 수는 5,179명이었고, 평균 교육시간은 9.32시간이었다. 31개 교육프로그램 중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른 감염관리실 인력교육으로 인증되는 프로그램은 26개(83.9%)였다. 교육대상이 2개 이상의 직종인 경우가 64.5%로 가장 많았고, 의료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기타 대상자를 위한 별도의 교육은 없었다. 교육방법은 대면교육과 온라인교육 운영비율이 비슷하였으나 포커스그룹 대상자들은 대면교육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의료기관 유형에 맞는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일부 직종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교육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계적 감염관리교육체계 마련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국내 교육프로그램을 통합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기관의 협력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infection control personnel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status and needs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programs. This is a mixed-method research using a mixture of descriptive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9 institutions that satisfied the criteria as a training institution for those working in infection control office under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Medical Service Act.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31 to November 7, 2022.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separately with six doctors and six nurses. Survey results showed that 31 training programs on infection control were conducted in 2022 at the nine institutions, with 5,179 participants and an average duration of 9.32 hours. About 64.5% of the cases were participants of the training program involved in two or more occupations, and there was no separate training program for other participants recognized by the heads of medical institutions. As for the training methods, face-to-face and online schemes showed similar results in the survey, but the subjects preferred face-to-face education. In this study, there was a lack of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tailored to various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targeting some occupations. Therefore, cooperative efforts by each organization are needed to establish governance to set up a step-by-step infection control education system that can meet education deman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such as integrating or developing new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관리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근로자들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피로와 스트레스의 원인 및 해결책 조사연구
- 보상제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한 현행 보험제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 청년여성의 출산·육아서비스만족도와 지역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비판적사고능력과 인간중심돌봄역량의 관계
- 감염관리담당인력을 위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급형 디지털컴패니언 로봇디자인연구
- 맞벌이가정의 부모급여제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제조업의 TBM활동이 안전요인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 안전보건성과 영향요인 연구
- 심폐소생술교육이 국내 거주 유학생의 안전수준 인식,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