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벌이가정의 부모급여제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56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al Benefit System Experienced by Double-income Famili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우영(Woo Young Jeo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8호, 63~7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가정이 경험한 부모급여제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23년 시작한 부모급여제도는 월 단위 지급되는 보편수당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아동의 보호자에게 현금으로 지급되는 정책이다. 따라서 시행 2년 차에 접어드는 부모급여제도의 실질적인 효과를 탐색하여 자녀 양육비용경감정책의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3년 출산한 신생아기와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 네 쌍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3년 3월부터 11월까지 각 가정을 3회씩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자료는 질적내용분석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부모급여제도는 ‘출산에서 오는 경제적·심리적 부담 완화’, ‘휴직기간 경제적 안정성 확보’, ‘성숙한 부모됨의 경험’, ‘후속 자녀출산 의지 확대’로 나타났다. 부모급여제도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요구로는 ‘양육관련 인적지원사업의 확대’, ‘긴급돌봄서비스지원체계 구축’, ‘서비스의 접근성 간소화 및 일원화’, ‘배우자 출산휴가기간의 확대’가 제시되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부모급여수혜자들의 만족도와 현황, 보완점을 제시하여 출산 및 양육지원관련 정책과 서비스의 안정화와 고도화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으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depth the parental benefit system experienced by dual-income families. Parental benefits system, which began in 2023, are a monthly universal allowance, and cash is paid to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Korean na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ccumulate basic data on child rearing cost reduction policies by exploring the actual effectiveness of the parent benefit system a year after its implementation.
To this end, four dual-income couples with newborns and infants born in 2023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From March to November 202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family three times to collect data.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ental benefit system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was found to be 'easing the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 from childbirth', 'securing economic stability during leave', 'experience of being a mature parent', and 'expanding the will to give birth to subsequent children'. Calls for policies that can supplement parental benefits include 'expansion of childcare-related human support projects',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care service support system', 'simplification and unification of access to services', and 'expansion of spouse maternity leave period'.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as providing basic data to stabilize and advance service projects related to childbirth and parenting support by presenting the satisfaction, statu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parental benefit recip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관리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근로자들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피로와 스트레스의 원인 및 해결책 조사연구
- 보상제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한 현행 보험제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 청년여성의 출산·육아서비스만족도와 지역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비판적사고능력과 인간중심돌봄역량의 관계
- 감염관리담당인력을 위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급형 디지털컴패니언 로봇디자인연구
- 맞벌이가정의 부모급여제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제조업의 TBM활동이 안전요인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 안전보건성과 영향요인 연구
- 심폐소생술교육이 국내 거주 유학생의 안전수준 인식,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