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전관리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Agency: Focus on the safety environment, job autonomy, and workplace cultu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득환(Deuk Hwan Kim) 이준원(Joon Won Lee) 어원석(Won Souk Eoh) 이윤호(Yun Ho Lee) 임충동(Chung Dong 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8호, 105~1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2022년 11월 30일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만들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고자「중대재해감축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안전관리전문기관이나 민간재해예방기관 등 안전보건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 간 협업과 거버넌스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제5항에 근거하여 상시근로자가 50~300인 미만의 사업장은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위탁받아 종사자로 하여금 안전관리위탁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한 사업장의 산업재해예방 및 감소하기 위해서 전문성이 고도화한 양질의 안전관리기술지도 · 점검 등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의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안전관리위탁업무를 수행하는 361명의 종사자에 대하여 KOSHA GUIDE H-67-2022의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지침’의 KOSS 기본형 8개영역 43문항 중 4개영역 18문항을 설문을 실시하였다. 직무환경요인(안전환경, 직무자율, 직장문화)을 재구성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직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설명력정도는 =.461로 나타나 46.1%의 설명력이 확인되었고, F=101.788로 나타나 유의수준 =.001에서 회귀모형이 적합하며, 직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안전환경(=.126, p<.01), 직무자율(=.332, p<.001), 직장문화(=.381, p<.001)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상대적 영향력은 직장문화, 직무자율, 안전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환경, 직무자율, 직장문화가 좋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안전관리위탁사업장의 산업재해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전문성이 고도화된 안전관리기술지도 · 점검을 수행토록 종사자의 직무환경요인을 개선하여 직무만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개인, 기관 및 정부의 관심과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n November 30, 2022, the government also unveiled the “Serious Accidents Reduction Roadmap,” emphasizing collaboration between safety management agencies and private accident prevention agencies, and governance for a safe and healthy workplace. This study, based on Article 17, Paragraph 5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volves 361 workers in workplaces with 50 to 300 regular workers who have delegated safety management tasks to safety management agencies. The study aim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workers performing safety management tasks through high-quality safety management technical guidance, inspection, and other services. Using the KOSS basic form of KOSHA GUIDE H-67-2022, “Guidelines for Measuring Job Stress Factors,”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surveying workers in four areas and 18 items. The study hypothesized that job environment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with safety environment, job autonomy, and workplace culture reconstru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job environmental factors explained 46.1% of job satisfaction (R² = 0.461). The regression model was appropriate at F = 101.788 ( =0.001). The impact of job environmental factors on job satisfaction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r safety environment (β = 0.126, p < 0.01), job autonomy (β = 0.332, p < 0.001), and workplace culture (β = 0.381, p < 0.001). The relative impact indicated that workplace culture, job autonomy, and safety environment ranked in descending order. The study concluded that improving job environmental factors in safety management entrusted workplaces through specialized technical guidance and inspections positively impacts job satisfaction. Urgent attention from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is necessary, alongsid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prevent and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n safety management entrusted workpla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관리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근로자들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피로와 스트레스의 원인 및 해결책 조사연구
- 보상제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한 현행 보험제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 청년여성의 출산·육아서비스만족도와 지역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비판적사고능력과 인간중심돌봄역량의 관계
- 감염관리담당인력을 위한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급형 디지털컴패니언 로봇디자인연구
- 맞벌이가정의 부모급여제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제조업의 TBM활동이 안전요인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 안전보건성과 영향요인 연구
- 심폐소생술교육이 국내 거주 유학생의 안전수준 인식,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