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과 한국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역량과 유형 비교
이용수 141
- 영문명
- Comparison of Noticing Abilities and Typ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손태권(Taekwon Son) 여승현(Sheunghyun Ye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1호, 43~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노티싱에 대해서 미국과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노티싱 역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노티싱은 교사가 수업 중 학생의 사고와 행동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적 결정을 내리는 전문적 안목이다. 본연구에서는 두 국가의 예비교사들에게 분수 뺄셈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고 노티싱의 세 가지 요인 ‘식별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 에 대한 노티싱 역량과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두 국가의 예비교사들은 식별하기와 해석하기에서 유사한 역량을보였으나, 반응하기에서 한국 예비교사들이 더 우수한 능력을 보였다. 또한 노티싱의 세 요인에 대하여 두 국가의 예비교사들은서로 유사한 유형과 차별화된 유형을 함께 나타내었다. 이는 교육 문화와 교수법의 차이를 반영하는 결과로서, 각 국가에서 강조하는교사 교육의 사회문화적 관점을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별 교육과정 및 교수법의 차이를고려하여 노티싱 능력의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oticing abilit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terms of a sociocultural perspective. Noticing is a professional perspective that allows teachers to recognize students' thinking and actions during class and make teaching decisions based on it. In this study, we posed a task on fraction subtraction to preservice teachers in two countri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bilities and types of the three components of noticing, attending, interpreting, and respo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showed similar abilities in attending and interpreting, but Korean preservice teachers showed superior abilities in responding.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showed both similar and differentiated types. This is a result that reflects differences in educational culture and teaching methods, and shows differences i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emphasized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improving noticing skills were suggested by considering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by count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1호 목차
-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적 기호의 의미작용 분석
-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을 이용한 대학 이공계 전공 예측 기계학습 분석
- 직관주의 수학 및 고전 수학 관점에 따른 교과서의 귀류법 증명에서 무리수 √2의 존재성 문제
- 과제의 반복적인 수정과 실행을 통한 수학교사의 집단 창의성 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수 활동의 변화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 탐색
- 미국과 한국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역량과 유형 비교
-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 활동 이론에 입각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수학 수업의 역동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