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 탐색
이용수 45
- 영문명
- Exploring Elementary Students’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원(Jeong Won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1호, 19~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술 구조에 대한 이해는 대수 구조에 대한 이해와 이후 성공적인 대수 학습으로 나아가는 데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초기 대수적 관점에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산술- 대수 구조 감각의 검사 도구는 동치와 모델링, 산술, 수치적 상황, 패턴, 그리고 함수의 구조라는 산술-대수 구조 감각의 5가지 요소와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의 23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하위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의 문항 반응에 대한 4개의 잠재프로파일이 확인되었으며 산술-대수 구조 감각의 하위요소와 관련된 수행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의 발달을 돕기 위한교수학적 지원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eveloping arithmetic structure sense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s imperative for grasping the structure of algebraic expressions and progressing successfully into algebraic learn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from an early algebraic thinking perspective. A total of 239 students in grades 3~6 completed a written test, comprising items related to the five factors of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structure of equivalence and modeling, arithmetic, numerical situations, patterns, and fun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o examine whether it was possible to identify subgroups of students with different structure-sense profile. The analysis revealed four latent profiles, allow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 performance abilities related to five factors of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pedagogical support to develo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1호 목차
-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적 기호의 의미작용 분석
-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을 이용한 대학 이공계 전공 예측 기계학습 분석
- 직관주의 수학 및 고전 수학 관점에 따른 교과서의 귀류법 증명에서 무리수 √2의 존재성 문제
- 과제의 반복적인 수정과 실행을 통한 수학교사의 집단 창의성 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수 활동의 변화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 탐색
- 미국과 한국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역량과 유형 비교
-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 활동 이론에 입각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수학 수업의 역동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