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원훼철령 이후 경북지역 서원의 현황

이용수 14

영문명
Status of Seowon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Seowon Closure Order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임근실(Geun-Sil Lim)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5집, 155~20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상북도는 16세기 조선의 書院이 최초로 건립된 지역이었다. 경상북도를중심으로 성립한 서원은 곧 조선 전역으로 전파되었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이서원을 경영하면서 가장 많은 수의 서원이 경상북도에서 운영되었다. 하지만서원의 폐단을 우려한 흥선대원군에 의해 전국의 원사는 47개소만을 남기고모두 철폐되었다. 대원군의 서원훼철령 이후 경상북도의 서원은 모두 9개소가존치하였다. 이에따라 경상북도의 지식인들은 서원의 훼철을 막기 위해 公議 를 모아 반발하였고, 이후 서원을 복설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현재 경상북도의 서원은 모두 280개소가 분포되어 있다. 그 중 서원훼철령이후 훼철되지 않은 서원은 9개소로 모두 사액서원이었다. 1시기(1868년~ 1910년)에 복설된 서원은 27개소였으며, 신설된 서원은 1개소였다. 2시기(일제강점기)에 복설된 서원은 33개소였으며, 신설된 서원은 5개소였다. 3시기(1945년~현재)에 복설된 서원은 80개소였으며, 신설된 서원은 15개였다. 훼철후 현재까지 복설되지 않은 서원은 110개소로 보인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후현재로 올수록 보다 다수의 서원이 복설·신설 되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환산해보면 1시기에 약 10%가 복설·신설되었다. 2시기는 약 13.5%가 복설· 신설되었다. 3시기는 약 34.4%가 복설·신설되었다. 또한 전체의 약 39%의 서원은 현재까지 복설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壇, 遺墟碑 를 건립하는 경우와 講堂·書堂 또는 강학소를 운영하는 경우도 다수 보였다.

영문 초록

Gyeongsangbuk-do was the first area where Joseon's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built in the 16th century. Seowon,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Gyeongsangbuk-do, soon spread throughout Jos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argest number of seowon were operated in Gyeongsangbuk-do as intellectuals ran seowon. However,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concerned about the abolition of the seowon, removed all of the seowon across the country, leaving only 47 seowon. Since then, only 9 seowon in Gyeongsangbuk-do remain. In addition, the intellectuals of Gyeongsangbuk-do protested with a common voice to prevent this, and later tried to rebuild the seowon. Curren tly, there are a total of 280 seowon in Gyeon gsan gbuk-do. Amon g them, there were nine unbroken seowon, all of which were recognized by the state. In the first period (1868-1910), there were 27 re-constructed seowon and 1 newly constructed seowon. In the second period (Japanese colonial era), there were 33 newly constructed seowon and 5 newly constructed seowon. In the third period (1945-present), there were 80 re-constructed seowon and 15 newly constructed seowon. It seems that there are 110 seowon that have not been rebuilt after disappearance. Looking at each period, it can be seen that more seowon were rebuilt or n ewly con structed as it comes forward. Con vertin g this to about 10% in the first period, about 13.5% in the second period, and about 34.4% in the third period. In addition, about 39% of the total seowon seems to have not been rebuilt until now.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memorials and memorials were built and cases where seodang or lecture centers were oper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원군의 서원훼철령과 경상북도 지식인의 대응
Ⅲ. 서원훼철령 이후 경상북도 서원의 지역별 복설 현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근실(Geun-Sil Lim). (2023).서원훼철령 이후 경북지역 서원의 현황. 민족문화논총, (), 155-201

MLA

임근실(Geun-Sil Lim). "서원훼철령 이후 경북지역 서원의 현황." 민족문화논총, (2023): 155-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