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류성룡의 『징비록』 간행 시기에 대한 연구

이용수 8

영문명
Review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of Ryu Sung-ryong's Jingbirok(The Book of Corrections)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박종평(Jong-Paung Park)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9호, 85~140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왜란과 관련해 많은 사료가 있다. 국가 편찬 사료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민간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임진장초』, 류성룡의 『징비록』은 역사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사료이다. 특히 『징비록』은 임진왜란 전체를 조망하고, 이순신과 관련한 중요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징비록』은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었고, 사료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으로 자주 인용되었으나, 연구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중 『징비록』 간행 시기는 1633년, 1643년, 1647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들이 있으나, 간행 시기를 부차적인 문제로 보아 주목하지 않았다. 이 주장들은 10여 년의 차이가 있으나 당시 역사적 상황을 보면 단순한 10여 년 문제가 아니다. 류성룡의 저술 목적 달성이 역사서와 역사 인식에 반영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중대시점이었다. 1641년부터 급격히 논의된 『선조수정실록』 편찬 때문이다. 류성룡은 임진왜란 말기인 1598년에 불명예스럽게 탄핵당했고, 그 직후부터 『징비록』을 저술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이라는 큰 위기를 반성하고 미래를 대비한다는 목적도 있었으나, 전쟁을 총괄 지휘했던 입장에서 억울한 누명을 벗는 방법이기도 했다. 이 저술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잘못 기록된 역사적 기록을 미래에라도 수정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시대에 그에 대한 역사적 비판이 오류였다는 것을 증거로 남기고자 했던 듯 하다. 그러나 그의 의도와 달리 직접 간행치 못하고 사망했고, 원고는 오랫동안 간행되지 못하다가 뒤늦게 간행되었다. 다양한 사료를 살펴본 결과, 1633년 간행 주장은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없었고, 1644년과 1647년 간행 주장은 근거가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입증하지는 않았다. 이 글은 기존 주장을 살피면서, 실증적인 자료로 간행 시기를 추적했다. 『징비록』을 분석해 보면, 이순신의 전기(傳記)인 이분(李芬)이 저술한 「행록(行錄)」, 이식(李植)의 「(이순신) 시장(諡狀)」,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준 것이 확인된다. 문헌 분석 결과 『징비록』은 1644년 10월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간행 결과는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미쳐 류성룡이 목적했던 자신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에 기여했다. 그 과정에서 이순신의 전기(傳記)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선조수정실록』 편찬 과정에서 『징비록』이 간행됨으로써 류성룡의 저술 의도가 반영되었고, 『징비록』의 주인공과도 같은 이순신이 현재까지 끊임없이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했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sources related to the Imjin War(1592-1598).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primary historical records are the national records Seonjosillok and Seonjo-sujeongsillok, and the private records Nanjungilg(War Diary) and Imjinjangcho by Yi Sun-sin, and Jingbirok(The Book of Corrections) by Ryu Sung-ryong. In particular, Jingbirok provides an overview of the entire Imjin War and contains a lot of important information about Yi Sun-sin. Although the “Jingbirok”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and interest, and is often cited for its value and importance as a historical documen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have not been studied. Among them is the time of publication, which has been variously claimed to be 1633, 1643, and 1647. Existing studie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is issue, as it has been considered secondary. Whether or not the purpose of Ryu's writings could be reflected in history book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was a decisive point in time. This was due to the writing of the Seonjo-sujeongsillok, which was sharply debated from 1641. In 1598, at the end of the Imjin War, Ryu was infamously impeached. Soon after, he began writing Jingbirok.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reflect on the great crisis of the Imjin War and prepare for the future, but it was also a way for Ryu to clear his name of the false accusations made against him while he was general in command of the seven-year war. It can be argued that he hoped to use this work to correct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im and the historical record based on them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he tried to leave evidence that the historical criticism of him in his time was an error. However, contrary to his intention, he died before he could publish it himself, and the manuscript remained unpublished for a long time. It was only after some time that it was published.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33 were not proven, and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44 and 1647 were supported, but did not definitively prove them.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arguments and traces the specific timing of its publication through empirical data. In other words, when analyzing Jingbirok, it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d Yi Sun-shin's biographies, Yi Bun's Yi Sun-sin's Hangnok, Yi Sik's Yi Sun-sin's Sijang, and the national historical record, Seonjo-sujeongsillok. Literary analysis confirms that Jingbirok was published before October 1644. It directly influenced the Seonjo-sujeongsillok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historical revaluation of himself that Ryu himself aimed for. In the process, it als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the biography of Yi Sun-sin. The publication of Jingbirok during the compilation of Seonjo-sujeongsillok reflected the intention of Ryu's writing. Additionally, not only Ryu Sung-ryong, but also Yi Sun-sin, the hero of Jingbirok, gained an influence that continues to be highly regarded toda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순신과 류성룡의 관계, 『징비록』 속 이순신
Ⅲ. 『징비록』 사료 가치와 간행 시기 주장
Ⅳ. 기존의 『징비록』 간행 시기 주장에 대한 검토
Ⅴ. 사료 분석을 통한 『징비록』 간행 시기 추정
Ⅵ. 맺는말 : 1642년 『징비록』 간행 의도와 사적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평(Jong-Paung Park). (2023).류성룡의 『징비록』 간행 시기에 대한 연구. 이순신연구논총, (), 85-140

MLA

박종평(Jong-Paung Park). "류성룡의 『징비록』 간행 시기에 대한 연구." 이순신연구논총, (2023): 85-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