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0
- 영문명
- Effects of Grit on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여상인(Sangihn Yeo)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3호, 444~45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초등 과학영재 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먼저 실시한 후, 그릿을 독립변인,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종속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은 관심의 지속성보다 꾸준한 노력의 하위요인이 더 높았고, 회복탄력성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았다. 둘째, 꾸준한 노력 그릿이 관심의 지속성보다 회복탄력성과의 상관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그릿의 꾸준한 노력 하위요인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예측력은 81.62%를 나타내었다. 셋째, 그릿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한 예측력도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56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The data were first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n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gri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as higher in perseverance of effort tha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resilience was higher in all sub-factors.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tha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with the self-regulation sub-factor of resilience was the highest, and the predictive power of the perseverance of effort on self-regulation was 81.6%. Third, grit did not correlate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화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연구프로그램으로 본 정서 기반 창의성과 영재교육
-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 중등 정보 사사과정 학생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Macbeath inconic과 볼록 사각형의 Orthic inconic에 대한 연구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확장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선택확률함수 조정에 따른 유효한 전략 분석
- 릴의 방법과 지오지브라, 파이썬을 이용한 다항방정식 풀이
- No-depot minmax mTSP 문제를 위한 분할 및 가변 이웃 탐색 기반 휴리스틱
- 너비 우선 탐색 기반 비재귀 트리 탐색 알고리즘의 효율적 구현과 성능 비교
- 확장된 블로토 대령 게임에서 최적 전략의 수학적 분석과 시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