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이용수 14
- 영문명
-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ewly Employed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at a Science Gifted Academy and Their Ways to O vercome: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Guidance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근준(Keunjune Lee) 서혜애(Haeae Seo) 이혜숙(Hyesook Lee)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3호, 404~41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학습, 평가, 연구지도를 수행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 및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수-학습 영역에서는 심화내용의 적정수준을 결정하고 이해수준이 다른 이질집단 학생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수업을 준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내용의 심화수준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어려우며, 학원 선행학습의 내용과 똑같을 수 있다는 생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영역에서의 수행평가 과정에서는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어려우며, 실험보고서의 질적평가, 실험활동의 관찰평가를 실시하기 어려운 점들을 토로하였다. 지필평가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서술형 답안을 채점하기 어렵고, 도전적이고 변별도 높은 문항을 출제하고 채점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지도 영역의 과제연구지도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교사의 조언을 따르지 않아서 지도하기 어려우며, 학생들이 연구주제에 대한 최신이론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아이디어가 부족하여 지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다양한 어려움들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방안들의 주요 방향은 학생들의 특징과 여건을 배려하여 맞춤형으로 지도하고 격려하는 방안들이었으며, 서로 다른 어려움에 대한 극복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규로 전입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더욱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극복 방법에 따른 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ifficulties that newly employed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have experienced at a science gifted academy and to investigate their way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in terms of teaching and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guidance.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administered with seven research subjects for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difficulties that teachers experienced at a science gifted academy.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a,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determining appropriate level of enriched content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groups of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when they were preparing teaching contents. During class implementation, they still felt difficulties in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enriched contents and selecting proper topics for both students who had prior learning at a private academy and those who did not. For the assessment area, teachers went through difficulties in developing objective criteria to assess student performance, in grading unexpected descriptive answers with reliability, and in developing good items to discriminate various levels of abilities exhibited by individual students. For the research guidance area,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who did not follow teacher advices and students who did not understand recent theories related to their research themes and lack of research ideas. Other difficulties were also appeared. The major direction of ways to overcome difficulties seemed that teachers provide customized guidance and encouragemen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make more efforts and time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s, in order to provid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quality at a science gifted academy, it is necessary to explore in more detail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ewly employed teachers and to more actively provide them with differentiated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화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연구프로그램으로 본 정서 기반 창의성과 영재교육
-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 중등 정보 사사과정 학생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Macbeath inconic과 볼록 사각형의 Orthic inconic에 대한 연구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확장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선택확률함수 조정에 따른 유효한 전략 분석
- 릴의 방법과 지오지브라, 파이썬을 이용한 다항방정식 풀이
- No-depot minmax mTSP 문제를 위한 분할 및 가변 이웃 탐색 기반 휴리스틱
- 너비 우선 탐색 기반 비재귀 트리 탐색 알고리즘의 효율적 구현과 성능 비교
- 확장된 블로토 대령 게임에서 최적 전략의 수학적 분석과 시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