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36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olecular Biology Experimental Program for Gifted Science Students to Underst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Protein Profile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Jinhee Kim) 김정식(Jeongsik Kim)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3호, 389~4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단백질은 세포 내의 생명활동을 결정하는 주요 생명 분자로 생물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분자이며, 이들에 대한 이해는 분자 생명 과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 대상으로 중등 교육과정에서 단백질 기반 분자생물학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실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여러 생물계의 대표 단백질을 분석하여 생명체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성한 실험 프로그램은 대장균, 애기장대,사람 혈장/혈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농도를 조정하여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해 총 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리한다. 이후 단백질 겔의 염색/탈색 과정을 통해 단백질의 양 및 크기를 정성적으로 확인하고, 주요 단백질에 대해 생물의 특징과 함께 토론하며 이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실험 프로그램은 6시간이 소요되며, 단백질 분석에 관한 다양하면서도 범용적인 분자 실험 기구 사용법도 이해할 수 있다. 본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실험 모듈을 수행한 9명을 대상으로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추가로 프로그램 수행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은 높은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보였고, 실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분자생물학에 대한 흥미 및 진로에 대한 관심이 다소 증가하였고, 세포 내 단백질 역할 및 관련된 분자생물학의 지식이 크게 상승하였다. 이에 본 실험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단백질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분자생물학 관련 연구 수행의 기반을 다져, 향후 생명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roteins are essential biomolecules that govern cellular activities and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 proper understanding of proteins is essential for comprehending the life sciences at the molecular level. In this study, our objective is to provide an experimental educational program for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to grasp the concepts of protein-based molecular biology. The experiments we have designed aim to analyze proteins from various organisms, helping students gain insights into their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we extract proteins from Escherichia coli, yeast, and human plasma/blood cells, and then separate total proteins by size using protein electrophoresis after adjusting their concentrations. Subsequently, we qualitatively determine the quantity and size of proteins through protein staining/de-staining processes. This is followed by discussions and comprehension of the major proteins in relation to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ntire experiment takes approximately 6 hours, allowing participants to learn diverse and universally applicable molecular experimental techniques related to protein analys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e conducted both a pre-test and post-test with nine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experimental module, and we also gathered additional program feedback.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module showed high satisf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encounter significan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experimental content. Furthermore,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interest and career aspirations in molecular biology, and knowledge of intracellular protein roles and related molecular biology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This experimental program is expected to facilitate students in comprehending molecular biological concepts based on proteins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nducting molecular biology-related research, and ultimately to assist in making their informed career choices in the life scienc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화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연구프로그램으로 본 정서 기반 창의성과 영재교육
-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 중등 정보 사사과정 학생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Macbeath inconic과 볼록 사각형의 Orthic inconic에 대한 연구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확장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선택확률함수 조정에 따른 유효한 전략 분석
- 릴의 방법과 지오지브라, 파이썬을 이용한 다항방정식 풀이
- No-depot minmax mTSP 문제를 위한 분할 및 가변 이웃 탐색 기반 휴리스틱
- 너비 우선 탐색 기반 비재귀 트리 탐색 알고리즘의 효율적 구현과 성능 비교
- 확장된 블로토 대령 게임에서 최적 전략의 수학적 분석과 시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