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이용수 37
- 영문명
- An Analysis on Understanding of Even-Odd Number Concepts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준(Sungjoon Kim)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3호, 359~37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 수학에서 짝수·홀수는 어느 시기에 다루어지는가, 이와 관련하여 짝수·홀수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 중 잠재적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짝수와 홀수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우선하는지 이와 함께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잠재적 수학영재는 P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에 응시한 학생 중 1차 전형을 통과한 40명 학생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먼저 짝수와 홀수 개념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한 가지 유형을 기술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짝수와 홀수의 개념을 다른 형태로 기술하게 한 다음 짝수·홀수를 정의한 유형에 대해 질문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짝수·홀수를 설명하는 과정은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수 개념, 배 개념, 곱셈 개념, 나눗셈 개념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이들 가운데 일부를 설명하고 또 이러한 개념 사이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일부 학생은 짝수·홀수를 수학적 용어로 설명하는 대신 ‘짝이 있다, 없다’와 같이 동어반복 수준이거나 그림을 그려서 답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잠재적 수학영재에게서 짝수·홀수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의 유형과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을 어떻게 연결하여 설명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잠재적 수학영재 평가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When are even and odd number concepts dealt with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how can even and odd numbers be defin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ich types take precedence in the process of defining even and odd numbers for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were defined as 40 students who passed the first screening among th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at P University’s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se 40 students. First, one type that can be defined for even and odd concepts was described and explained. Then, the concepts of even and odd were described in different forms, and then we asked about the types that defined even and odd numbers and collect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of explaining even and odd numbers is related to number concepts, multiplication concepts, and division concepts covered in elementary mathematics. Students explained some of them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However, instead of explaining even and odd numbers in mathematical terms, some students responded by repeating tautologies such as ‘there is a pair’ or ‘there is no pair’ or by drawing pictures. By looking at the types and levels of definition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concepts in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it will be possible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by looking at thei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how they are connected and explain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화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연구프로그램으로 본 정서 기반 창의성과 영재교육
-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 중등 정보 사사과정 학생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Macbeath inconic과 볼록 사각형의 Orthic inconic에 대한 연구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확장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선택확률함수 조정에 따른 유효한 전략 분석
- 릴의 방법과 지오지브라, 파이썬을 이용한 다항방정식 풀이
- No-depot minmax mTSP 문제를 위한 분할 및 가변 이웃 탐색 기반 휴리스틱
- 너비 우선 탐색 기반 비재귀 트리 탐색 알고리즘의 효율적 구현과 성능 비교
- 확장된 블로토 대령 게임에서 최적 전략의 수학적 분석과 시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