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1
- 영문명
- The Effect of a Science Storybook Cre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일훈(Ilhoon Choi) 심재호(Jaeho Sim)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3호, 419~4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과학 영재반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투입하였으며, 프로그램 투입에 따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 수업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science storybook cre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school.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dministered to 60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clas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cience storybook making clas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effect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dditionally, these classes were found to improve their scientific attitud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화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연구프로그램으로 본 정서 기반 창의성과 영재교육
- 과학영재학교에 신규로 전입한 수학, 과학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동화책 만들기가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단백질 발현 양상 기반 생물 특성 이해를 위한 과학영재 대상 분자생물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 중등 정보 사사과정 학생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Macbeath inconic과 볼록 사각형의 Orthic inconic에 대한 연구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확장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선택확률함수 조정에 따른 유효한 전략 분석
- 릴의 방법과 지오지브라, 파이썬을 이용한 다항방정식 풀이
- No-depot minmax mTSP 문제를 위한 분할 및 가변 이웃 탐색 기반 휴리스틱
- 너비 우선 탐색 기반 비재귀 트리 탐색 알고리즘의 효율적 구현과 성능 비교
- 확장된 블로토 대령 게임에서 최적 전략의 수학적 분석과 시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