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청 지역 여성독립운동의 성격과 공적

이용수 82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hungcheong Province
발행기관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저자명
이명화(Myung Hwa Lee)
간행물 정보
『유관순연구』제28권 제2호, 123~181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여성 독립운동사는 나라의 독립을 찾고자 했던 항일 독립운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민족 내부의 봉건주의로부터 탈피하고자 한 인간해방운동이기도 하다. 아이러니하게도 나라를 빼앗긴 독립운동의 시기에 와서야 비로소 성평등 인식이 사회적으로 자리 잡음으로써 한국 근대사 전개 과정에서 여성들의 활약상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사회적 및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그 연구성과가 여전히 미진한 편이다. 충청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오랫동안 봉건성이 지속되어 여자들은 사회적으로 열등하고 교육이 필요 없는 대상으로 치부되었다.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된 존재라는 가부장적 사고와 함께 도덕체계로 구축된 유교의 오랜 전통과 보수의 벽이 다른 지역보다도 두터웠다. 그렇기에 충청 여성의 개화와 근대화 과정은 그 어떤 다른 지역보다도 고통스러웠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대 사회로 들어섰음에도 전 근대 봉건시대에 머물렀던 충청 여성들에게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각성을 가져다주었다. 특히 기독교 교육을 받은 전도부인들의 활약은 선교사들의 복음전파력 보다도 우세했기에 충청지역의 기독교 복음과 함께 여성해방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남감리교 여선교사들과 전도부인들의 복음전도로 충청여성들은 한글을 깨우치고 성경공부를 함으로써 문맹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세계관을 확대할 수 있었고 의식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기독교 신교육과 여성들의 굳건한 믿음의 신앙은 그 어떤 역경도 이겨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키워주었고 여성의 사회화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렇게 기독교로 무장한 근대 개화 여성들은 안으로는 봉건사회를 개혁하고 밖으로는 일본제국주의 침략세력에 맞서야 하는 두 가지의 과제를 안고 그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 나갔다. 물론 모든 여성이 기독교 교육의 혜택을 누리지 못했기에 대부분의 여성들은 근대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중세적 사고에 머물러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식민지 체제에서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해방보다도 민족 해방의 가치를 우선으로 투쟁하였으며 민족 해방 없이는 결코 여성 해방도 이룰 수 없다는 각오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충청의 여성들은 충청지역에 머물기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또는 국외로 나가 활발한 독립운동의 자취를 남겼다. 일제와의 항전기에 충청지역은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할 만한 생태계가 조성되지 못하였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 당시만 해도 타 지역 여성들은 여성들만의 국채보상의연 단체들을 만들어 운동에 참여했으나 충청지역에서는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1927년 당시 여성의 유일통일협동전선 조직으로 출범한 근우회가 전국적 조직으로 발전해 나갔음에도 충남지역에서는 그 어떤 지회도 설립되지 않은 사실이 그 현상을 대변해주고 있다. 또한 타 지역과 비교해 볼 때, 3.1운동과 학생운동에 참여한 여성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지역에서 충청여성들이 헌신과 희생으로 3.1운동을 주도함으로써 여성들의 자의식과 함께 여성에 대한 사회의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로써 성차별 없는 독립된 국민국가의 건설의 비전을 일치시킬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history of the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was not only an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that sought national independence, but also a human liberation movement that sought to break away from feudalism within the nation. Ironically, it was only du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the country was taken away that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began to take root in society. In the course of Korea’s modern history, women’s activities have achieved remarkable growth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but research results are still insufficient to give meaning. In modern times, the Christian gospel brought about an awakening that women had not experienced in the pre-modern feudal era. Since the Bible women educated by Christian missionaries had a greater ability to spread the gospel than any other missionaries, the Bible women can be evaluated as the leading figures who achieved great results in the Christian gospel and women's liberation in the Chungcheong Province. Women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able to learn the Korean alphabet and overcome illiteracy by studying the Bible with female missionaries and Bible women from the Southern Methodist Church. Memories of learning and strong faith brought awareness and strengthened women’s inner self, giving them the strength to overcome any adversity. Feudalism persiste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for a long time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women were dismissed as socially inferior and in need of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for women in Chungcheong was more painful than any other region due to the dominance of the patriarchal idea that women are subordinate to men. This is because the long tradition of Confucianism, which was built as a moral system, and the wall of conservatism were that thick. Modern enlightened women had the dual task of reforming feudal society internally and opposing the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force externally, but women who did not enjoy the benefits of education remained stuck in medieval thinking even into modern times. Nevertheless, in the colonial system, women fought for the value of national liberation above their own liberation, and enter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determination that women's liberation could never be achieved without national liberation. Rather than staying in the Chungcheong province, women in Chungcheong left traces of an active independence movement by moving to other regions or abroad. Therefore, the Chungcheong region could not create an ecosystem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re the women's movement could develop. At the time of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Movement in 1907, national debt compensation organizations were created by women in various regions, but they were not found in any of them in the Chungcheong Province. In addition, although the Geunwoohoe(근우회), which was founded in 1927 as the women’s only unified cooperative front organization, developed into a national organization, the fact that no branches were established in the South Chungcheong rigion speaks for this phenomenon. Although the proportion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tudent movemen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regions, we can see that awareness of women in gender and class discrimination is changing significantly as we witness the dedication and sacrifice of Chungcheong women who led the March 1st Movement. Along with these changes of the times, women’s worldview and historical awareness also changed significantly, leading to the realization that an intact community could not be maintained without women’s participation. In this way, the vision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state without gender discrimination could finally be unified.

목차

Ⅰ. 머리말
Ⅱ. 충청의 지역성과 여성독립운동가
Ⅲ. 청청지역 여성독립운동의 성격
Ⅳ. 3.1운동과 충남 여성
Ⅴ. 광주학생운동 동조시위에 나선 충청여성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화(Myung Hwa Lee). (2023).충청 지역 여성독립운동의 성격과 공적. 유관순연구, 28 (2), 123-181

MLA

이명화(Myung Hwa Lee). "충청 지역 여성독립운동의 성격과 공적." 유관순연구, 28.2(2023): 123-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