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강의 「아기 부처」에 나타난 존재의 방식

이용수 0

영문명
The Way of Being in the of the Han Gang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계열(Kye-yeol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8輯, 197~22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한강의 「아기 부처」를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존재의 방식을 살펴보았다. 「아기 부처」에서 주인공인 ‘나’의 존재의 방식은 두 층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것은 고통의 기억으로 타자가 현현한다는 점과 소멸의 운명으로 바라보기(觀)를 마주한다는 점이다. 「아기 부처」는 주인공인 화자가 아름다운 자기 얼굴을 어떻게 그릴 것인지에 관한 고통의 기억을 반추하는 서사이면서 동시에 소멸의 운명을 마주하는 서사이기도 하다. 「아기 부처」에서 ‘나’에게 있어서 고통의 대상은 그이지만 ‘나’가 그를 이해해 가는 상황에서 고통의 대상은 ‘나’ 자신에게로 귀착된다. ‘나’에게 있어서 그는 흉터를 트라우마로 지닌 연약하고 헐벗은 병든 자로서 타자이다. 작품에는 주인공인 ‘나’의 ‘고통의 경험을 통한 자기의식 과정’이 드러나는데, ‘나’가 고통의 대상인 그와의 관계에서 이것은 크게 두 단계로 나타난다. 첫째는 혐오와 견딤이다. ‘나’는 그의 흉터뿐만 아니라 그의 외도 등에 따른 가정 내의 횡포 혹은 윤리의 결여에 의한 혐오와 견딤이 극에 치달은 고통-불만족성-자신의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에 대한 냉소를 내비친다. 둘째는 불안과 분노이다. ‘나’는 그의 흉터와 그의 외도 때문에 불안으로 인한 구토 증상을 겪고 끝내 그 여자와 마찬가지로 흉터로 가득한 그의 몸을 피한 자신을 향한 분노에 휩싸인다. 여기에는 흉터로 큰 트라우마를 지닌 그 헐벗고 병든 자인 ‘타자에 대한 무한한 책임’ 혹은 ‘무조건적인 환대’를 다하지 못한 ‘나’의 자책-죄의식이 깔려 있다. 「아기 부처」에는 꿈이 세 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 ‘아기 부처’ 꿈은 ‘나’의 무의식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찡그린 음흉한 얼굴이 드러난 첫 번째와 두 번째 꿈은 ‘나’가 고통의 대상인 그와의 관계에서 혐오와 견딤을 거쳐 불안과 분노를 드러낸 ‘나’의 심적 상황과 조응된다. 「아기 부처」에는 주인공인 ‘나’의 ‘고통의 경험을 통한 자기의식 과정’에 있어서, ‘나’가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일러 주는 대상인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이것은 부끄러움과 용서로 나타난다. 이는 불교의 관음(觀音) 세계와 관련이 깊다. 즉 수행 방편인 관음초를 그리며 자신의 몸이 용서하는 마음-자비심-청정심으로 가득한 관세음보살(연꽃)로 현현하는 것이다. ‘나’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부끄러움을 느끼고 용서를 마주하는 과정에서, 아기 부처의 얼굴을 보지 못하는 마지막 세 번째 꿈은 이와 같은 ‘나’의 심적 상황과 조응된다. 한강의 「아기 부처」는 주인공인 ‘나’를 내세워 고통이 발생하는 원인과 고통을 해결하는 법을 통해 인간이 지향해야 할 자기 얼굴 그리기를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way of existence in this work, targeting the of the Han Gang. In , the way of existence of the main character ‘I' is taking place on two phase. It is the fact that the other person manifests itself as a memory of pain and faces the view as a fate of extinction. is a narrative that reflects on the memory of pain about how the main character, the speaker, will draw his beautiful face, and at the same time faces the fate of extinction. In , the object of pain for ‘I’ is him, but in the situation of understanding him, the object of pain is attributed to ‘I’ himself. For me, he is a weak, naked sick man with scars as a trauma, and a batter. The work reveals the ‘self-conscious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I’ through the experience of pain, which appears in two main stages in his relationship with him, where ‘I’ is the subject of pain. The first is hatred and patience. ‘I’ suffers from hatred and patience not only because of his scar, but also because of tyranny or lack of ethics in the family due to his extramarital affairs. Eventually, there is a cynicism about such suffering. The second is anxiety and anger. ‘I’ suffers from vomiting caused by anxiety due to his scar and his extramarital affair and is eventually engulfed in anger at himself for avoiding his body full of scars. This is based on the self-criticism of ‘I’ who failed to fulfill ‘unlimited responsibility for others’ or ‘unconditional hospitality’, the naked and sick person with great trauma from scarring. In , dreams appear three times repeatedly, and this ‘Baby Buddha’ dream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unconsciousness of ‘I’. The first and second dreams, in which the frown insidious face is revealed, correspond to the mental situation of ‘I’ who revealed anxiety and anger through hatred and patience in his relationship with him, who is the object of pain. In , in the ‘self-conscious proces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in' of the main character ‘I', this appears as shame and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ho is the object of ‘I' getting out of pain.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world of Buddhism. In other words, while drawing Gwaneumcho, his body turns out to be a Gwaneum(lotus) full of forgiving hearts, mercy, and cleanliness. In the process of feeling ashamed and facing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my mother, who told me how to get out of pain, the last third dream of not seeing the baby Buddha's face corresponds to this mental situation of ‘I’. The Han River's reveals the cause of pain and how to solve it, showing the point that humans should aim for.

목차

1. 머리말
2. 고통의 기억으로서의 타자
3. 소멸의 운명으로서의 바라보기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계열(Kye-yeol Lee). (2023).한강의 「아기 부처」에 나타난 존재의 방식. 어문연구, (), 197-225

MLA

이계열(Kye-yeol Lee). "한강의 「아기 부처」에 나타난 존재의 방식." 어문연구, (2023): 197-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