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흰-’ 결합 복합명사의 색상과 의미

이용수 5

영문명
The Colors and Meanings of ‘Huin’-based Korean Complex Nouns: The Lexical Entries and Their Referents in Focu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임동휘(Dhong-hui Lim) 권연진(Yeon-jin Kwo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8輯, 31~6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의 색채 형용사 중에 ‘흰-’ 형용사의 의미 양상을 지시체의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고전식 범주와 색채학 기준에서 최고 명도와 최저 채도를 가진 무채색 백색 범주를 표상한다고 간주되는 ‘흰-’ 형용사는 (은유적, 환유적 의미 확장을 제외하면) 서술, 수식 용법에 상관없이 “희다(WHITE)”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기호의 이원론 모형과 단어의 단의미 모형을 따른 것이며 실제 지시체에 기반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복합명사의 어두 수식어로 언어 형식과 기능을 한정시키고 구체적이고 일관된 지시체를 가지는 사전 표제어로 물리적 차원과 기호적 범위를 제한시킬 때에 과연 ‘흰-’의 백색 범주와 의미가 고정적이고 단일한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조사 방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우선 100개의 표제어 예들을 추출하고 인터넷 사진과 동영상 자료들을 참조하여 지시체의 색 속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에 따르면, ‘흰-’ 형용사가 지시하는 지시체별 색상 정보는 순수 백색 범주보다 유채색 중 담색 유형에 속하는 예들이 더 많음이 드러난다(32 vs. 37). 더불어 (백색 또는 담색 유형을 포함하기도 하면서 부분 간 또는 단계 간 경계가 불분명한) 다수 색상들의 복합 유형에 속하는 예들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25). 한편, 자연 영역의 지시체를 가리키는 경우가 문화 영역의 지시체를 가리키는 경우보다 월등히 많은 것이 지시체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다(83 vs. 13). 그러나 실제로는 자연 관련어와 문화 관련어 간의 비율 차이와 상관없이, ‘흰-’ 형용사가 백색 범주뿐만 아니라 담색 유형 또는 다수 색상들의 복합 유형을 지시하고 표상한다는 공통점이 있음이 더 중요한 분석 결과로서 드러난다. 지시체 내부의 색상 비율에서는 백색, 담색, 다수색 비율에 상관없이 지각된 색상을 “흰 색조”로 해석/번역하는 것이 관찰된다. 기호의 이원론 모형과 고전적 범주 이론은 이러한 지시체의 시각기호적 속성과 언어 형식, 인지 해석/번역 간의 역동적 관계를 설명하지 못하며 원형 범주 이론도 다양한 색상 표상을 설명할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와 한계를 Peirce의 기호 모형과 기호 내/간 환유 및 번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언어 형식과 의미, 인지와 세계(또는 개체들) 사이의 속성과 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시체에 대한 (메타)기호적 탐구와 고찰도 이루어져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관련 표제어 전체 목록뿐만 아니라 한자어 수식어로 시작하는 예들도 조사함으로써 방법론적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aspects of the color-specific adjective ‘huin’ in Korean by focusing on the color-related visual properties of the pertinent referents. The morpheme ‘hui-da’ is often claimed to possess the single fixed meaning of “WHITE” as it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achromatic white category with the highest brightness and lowest saturation, especially, according to the classical view of category and the scientific perspective in chromatics. Such a claim is based on the dyadic model of sign and the monosemy model of lexical meaning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new empirical research.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if the color category and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adjective ‘huin’ remain fixed and unitary even in an empirically designed referent-centered investigation by getting the linguistic form and function delimited to the word-initial modifier in the Korean complex nouns and having the physical dimension and semiotic scope restricted within the referent-specific dictionary entries. As a pilot study to test this approach’s validity and usefulness, it analyzes the semantic/ semiotic properties of ‘huin’ used in 100 dictionary entries in concentrating on the respective referents’ color properties observed in the online pictures and video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referent-specific color information of the huin-based lexical entries is characterized by a greater proportion of the tint-color-related color type (in 37 entries) when compared with the proportion of the pure or vivid white category (in 32 entries). Also, it turns out that the color information includes a noticeable proportion of the multicolor type with fuzzy boundaries between color parts/ stages (in 25 entr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higher number of words for the referents in the natural domain (83) than those in the cultural domain (13). Nonetheless, what matters is the fact that ‘huin’ can refer to and stand for not only the white category but also some other color types/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lor proportion in a referent, the presence of some white/ tint/ multiple color(s) is found to be interpreted/ translated as the “white” category irrespective of the actual proportions. The sign’s dyadic model and the category’s classical theory cannot explain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the referents’ visual semiotic properties, the linguistic form, and the cognitive construals/ translations. The prototype theory of category also fails to explain the diverse color types’/ categories’ linguistic representa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at Peirce’s sign model and the semiotic metonymy/ translation can explain such problems.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eferent-specific (meta-) semiotic properties in color-related research.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of larger data (e.g., huin-based entries, Hanja-based color adjective) will be able to help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methodology in the follow-up research.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
3. 복합명사 속 ‘흰-’의 의미
4. 범주화: 원형 & 기호적 환유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동휘(Dhong-hui Lim),권연진(Yeon-jin Kwon). (2023).‘흰-’ 결합 복합명사의 색상과 의미. 어문연구, (), 31-69

MLA

임동휘(Dhong-hui Lim),권연진(Yeon-jin Kwon). "‘흰-’ 결합 복합명사의 색상과 의미." 어문연구, (2023): 3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