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기 낳는 로봇

이용수 73

영문명
Baby-Making Robots: Low Birthrate Crisis and Criticism of Reproductive Futurism in Korean Feminist Science Ficti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노대원(Dae-won Noh)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8輯, 149~1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SF 소설을 대상으로 임신과 출산 등 인간 재생산(human reproduction)의 서사적 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89개 국가 중 세계 최하위이다. 한국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담론은 여성에게 출산 의무를 부여하고, 여성의 신체와 삶을 재생산을 위한 국가 자원으로 간주하도록 만든다. 페미니즘 SF는 이러한 담론을 비판하고 여성의 대안적 세계와 상상력을 제시한다. SF 작가 조애나 러스(Joanna Russ)는 SF가 현실을 바꾸고 분석하는 장르로, 페미니즘의 사회 변혁과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서 페미니즘 SF가 부상하면서, 임신과 출산을 중요한 모티프로 다룬 SF 소설들은 재생산 기술의 혁신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 출산율 관리와 여성 억압의 관계, 임신과 출산의 사회적 의미와 여성의 개인적 삶 등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했다. 퀴어 이론가 리 에델만(Lee Edelman)은, 인간 재생산과 미래 사회를 연결하는 재생산 미래주의(reproductive futurism) 개념을 제안했다. 이는 ‘아이가 있으면 미래가 있고 구원이 있다’는 명제로, 에델만은 이를 억압적인 가부장제적-이성애중심적 이데올로기로 비판했다. 한국 사회는 ‘인구 절벽’이라는 사회적 불안과 함께 재생산 미래주의가 팽배해 있다. 페미니즘 SF는 이러한 담론을 비판하거나 대항하는 서사를 만든다. 한국 페미니즘 SF는 재생산의 문제를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서사화한다. 첫째, 새로운 과학기술이나 과학소설적 아이디어보다는 주로 여성 억압적 디스토피아 사회를 상상하는 사변소설들이다. 이 소설들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는 국가의 정책이 여성의 몸과 생식 능력을 감시하고 이용하는 상황을 비판한다. 윤이형의 청소년 장편소설 『졸업』은 불임이 일반화된 미래 사회에서 청소년 여성들이 난자 채취와 임신을 권장받는 상황을 그린다. 이서영의 단편소설 「히스테리아 선언」에서는 ‘방패 유전자’를 가진 여성들이 출산을 위한 ‘생산원’으로 수용되며, 아밀의 단편소설 「로드킬」에서도 재생산 판옵티콘 또는 재생산 수용소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여성들을 그린다. 둘째, 한국 페미니즘 SF는 새로운 모성과 출산에 대한 과학소설적 상상을 탐구한다. 김하율의 단편소설 「마더 메이킹」에서는 모성 호르몬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를 배경으로, 기술과 자본주의가 결탁하여 여성 재생산 노동을 강화하는 상황을 풍자한다. 박애진의 단편소설 「완전한 결합」은 세 명의 개인이 결합해야만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세계를 통해 재생산 부담을 지우는 가부장제 사회 현실을 부각시킨다. 이하루의 단편소설 「두 개의 바나나에 대하여」는 인류 멸종 위기 속에서 인간이 분열을 통한 무성생식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설정으로, 세계화된 생명공학 자본주의와 인류세의 우울을 그린다. 박문영의 단편소설 「무주지」는 양육을 클론에게 맡기는 사회를 통해 재생산 기술의 진보가 반드시 사회적 진보나 평등을 약속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narrative themes of human reproduction, inclu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 Korean science fiction (sf). South Korea's total fertility rate ranks last in the world among 189 countries. The discourse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imposes a duty on women to give birth and makes women's bodies and lives a national resource for reproduction. Feminist sf critiques this discourse and offers alternative worlds and imaginaries for women. Sf writer Joanna Russ sees sf as a genre that changes and analyzes reality; she sees it as enabling feminist social change and utopia. Since the mid-2010s, Korean literature has seen a revival of feminist science fiction. These novels often use pregnancy and childbirth as central motifs. They explore various themes: innovations in reproductive technology, the potential for women's liberation, the intersection of fertility control and women's oppression, and the impact of pregnancy and childbirth on women's social and personal lives. Queer theorist Lee Edelman proposes the concept of reproductive futurism, which links human reproduction to future societies, summarized by the proposition that “if you have children, there is a future, there is salvation.” He criticizes this as an oppressive patriarchal and heterosexist ideology. Reproductive futurism is widespread in South Korean society, along with social anxiety about the “population cliff.” Feminist sf creates narratives that critique or counter these discourses. Korean feminist sf narrativizes reproductive issues in two main ways. First, it is mainly speculative fiction that imagines a dystopian society that oppresses women, rather than new technologies or science fiction ideas. These novels criticize the surveillance and exploitation of women's bodies and reproductive capacities through state policies aimed at addressing the declining birthrate. In Yi-hyung Yoon’s young adult novel Graduation, depicts a futuristic society where sterilization has become the norm and adolescent women are encouraged to undergo egg harvesting and pregnancy. In Seo-young Lee's short story “Hysteria Manifesto,” women with the ‘shield gene’ are used as “production sources” for childbirth, and in Amil's short story “Roadkill,” women attempt to escape from a reproductive panopticon, or reproduction camp. Second, it explores new science fictional imaginings of motherhood and childbirth. Ha-yul Kim's short story “Mother Making,” set in a company that produces and sells maternal hormones, satirizes the collusion of technology and capitalism to intensify women's reproductive labor. Ae-jin Park's short story “Perfect Union” highlights the reality of a patriarchal society that places the burden of reproduction on women by creating a world in which conception and birth are only possible through the union of three individuals. Ha-ru Lee's short story “About Two Bananas” depicts the bleakness of globalized biotech capitalism and the Anthropocene in a setting where humans are able to reproduce asexually through division amidst the threat of human extinction. Moon-young Park's short story “Land without an Owner” shows that advances in reproductive technology do not necessarily promise social progress or equality through a society that entrusts childcare to clones.

목차

1. 한국의 저출산 위기와 여성의 위기
2. 페미니즘 SF 서사와 재생산 미래주의
3. 한국 페미니즘 SF의 임신과 출산
4. 여성 없는 미래, 미래 없는 여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대원(Dae-won Noh). (2023).아기 낳는 로봇. 어문연구, (), 149-175

MLA

노대원(Dae-won Noh). "아기 낳는 로봇." 어문연구, (2023): 149-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