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놀로지융합 체육수업 도입을 위한 교사양성방안 탐구 및 제언
이용수 29
- 영문명
- Explor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er Training Approaches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제행(Je-Haeng Lee) 백준형(Jun-Hyung Baek)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7권 제4호, 369~3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분야에서 테크놀로지 도입이 느리게 진행되는 이유를 밝히고, 테크놀로지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신념과 의사결정 연구를 이론적틀로 활용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새로운 프레임워크인 C.O.P.S.을 소개하였다. C.O.P.S. 프레임워크는 의사결정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테크놀로지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교사의 테크놀로지 도입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왜 그들이 테크놀로지 도입을 주저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고, 도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고려한 교육 계획이 필요함.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C.O.P.S 프레임워크는 테크놀로지 도입 계획을 구체화하고 설계하는데 중요한 지침과 원칙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 slow adoption of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PE)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prepare PE teachers who can integrate technology into PE class.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s theories from teacher beliefs and decision-making research to analyze these underlying reasons and introduces a new framework called C.O.P.S. The C.O.P.S. framework is developed based on decision-making research and is aimed at facilitating the adoption of technology.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PE teacher’s technology adoption,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reasons why they may hesitate to embrace technology and the challenges they may face during the adoption process is necessary. The C.O.P.S. framework proposed in this paper can provide crucial guidance and principles for concretely shaping and designing technology adoption plans.
목차
Ⅰ. 서론
Ⅱ. 테크놀로지 도입에 대한 장애물 이해하기
Ⅲ. C.O.P.S.: 체육교육에서 기술 도입을 위한 프레임워크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체육계열학과 전공수업에 대한 고찰
- 테크놀로지융합 체육수업 도입을 위한 교사양성방안 탐구 및 제언
- 여가스포츠 참여 중학생의 코치지원과 그릿 및 평생운동의도의 관계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예비 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기반 전공역량체계 개편방안 탐색
- 초·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공정마인드셋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자원의존론적 관점에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 양상 탐색 연구
- 성인학습자의 대학진학동기가 융합전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교사-부모와의 관계 양상에 대한 연구
-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 분석
- 대학입학전형 사례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희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원생 교육만족도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전망
- 대학 STEAM 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분석
-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사기·열의,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고교 경쟁률과 접근성에 대한 그룹간 분산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