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 분석
이용수 121
- 영문명
- Analysis of Practicing Domestic Trends in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Ho Kim) 장원호(Won Ho Jang)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7권 제4호, 159~1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될 이음교육을 향한 추후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유·초 연계교육을 실천하거나 교사 및 부모를 실제로 지원한 56개 유·초 연계교육 실천 사례이다. 본 연구는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자료에 제시된 텍스트를 살펴본 후, 범주별 빈도를 산출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 실행을 통한 유·초 연계교육’이 66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보육교사 대상 연수 1회, 보육교사 대상 협의회 0회, 부모 대상 협의회 1회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 진행된 유·초 연계교육은 전이 주체인 유아가 스스로 초등학교를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일회성 체험 활동이 대부분이며 학습준비도 관점에서 문해력 및 학습도 강조하였다. 교사 및 부모 역량 강화 측면에서 진행된 유·초 연계교육은 교육과정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어 연수 내용이 단조롭고, 협의회는 유치원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거나 취학 전·후 부모의 일회성 만남으로 진행되었다. 교육환경 조성 측면에서 진행된 유·초 연계교육은 공동공간 및 초등학교 1학년 교실 내 놀이공간을 구성하고 새로운 통합학교를 개설하였지만 기존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과의 연계를 시도한 경우가 부족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의 주체성이 반영된 유·초 연계교육 실행과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고 다양한 유아의 특성을 지원하는 유·초 연계교육 실천 사례 발굴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omestic practicing trends of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and to confirm what future tasks will be for leum education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6 cases of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and supporting teachers and parents on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In this study, the text presented in the analysis data was examin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hen the frequency by category was calculated and ca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practices through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the most common with 66 times, and relatively the least with 0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0 conference for childcare teachers, and 1 conference for parents. Second, in term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young children to explore elementary schools on their own, but most of them are one-time experience activities, and literacy and learning were also emphasiz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readiness. In terms of strengthening teachers and parents' capabilities,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the conference was primarily centered on kindergarten teachers or was conducted as a one-time meeting between parents before and after school. In terms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formed a common space and a play space in the classroom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opened a new integrated school, but there were few attempts to link it with existing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that reflects the subjectivity of young children, and the discovery of cases of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that utilize community resources and support various young children's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체육계열학과 전공수업에 대한 고찰
- 테크놀로지융합 체육수업 도입을 위한 교사양성방안 탐구 및 제언
- 여가스포츠 참여 중학생의 코치지원과 그릿 및 평생운동의도의 관계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예비 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기반 전공역량체계 개편방안 탐색
- 초·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공정마인드셋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자원의존론적 관점에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 양상 탐색 연구
- 성인학습자의 대학진학동기가 융합전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교사-부모와의 관계 양상에 대한 연구
-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 분석
- 대학입학전형 사례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희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원생 교육만족도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전망
- 대학 STEAM 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분석
-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사기·열의,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고교 경쟁률과 접근성에 대한 그룹간 분산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