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이용수 74
-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황매향(Maehyang Hwang) 김현령(Hyunryung Kim) 김혜량(Hyerang Kim)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7권 제4호, 327~3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진로발달에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이 앞으로 가지고 싶은 직업과 가지고 싶지 않은 직업에 대해 가지는 직업가치에 대해 탐색하여,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의 기준이 되는 직업가치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04명을 대상으로 갖고 싶은 직업과 갖고 싶지 않은 직업 각각 3가지와 그 이유를 적는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정된 합의적 질적 분석(CQR-M)의 절차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이 가지고 싶은 직업에 대해 8개 범주와 21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갖고 싶지 않은 직업에 대해서는 7개의 범주와 15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갖고 싶은 직업에 대해서는 ‘인정’, ‘기여’, ‘능력’, ‘관계’, ‘돈’, ‘안정’, ‘흥미’, ‘수월함’의 범주가 확인되었고, 갖고 싶지 않은 직업에 대해서는 ‘안전과 건강’, ‘기여’, ‘능력’, ‘돈’, ‘안정’, ‘흥미’, ‘수월함’의 범주를 확인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이 가지는 직업가치를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career development. A total of 304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s from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answered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ree jobs they wanted, three jobs they did not want, and their reason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and 21 domains for the jobs they wanted and seven categories and 15 domains for the jobs they did not want. The categories for the jobs they wanted were recognition, contribution, ability, relationship, money, stability, interest, and ease. The categories of safety and health, contribution, ability, money, stability, interest, and ease were identified for the jobs they did not want.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career education, caree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체육계열학과 전공수업에 대한 고찰
- 테크놀로지융합 체육수업 도입을 위한 교사양성방안 탐구 및 제언
- 여가스포츠 참여 중학생의 코치지원과 그릿 및 평생운동의도의 관계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예비 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기반 전공역량체계 개편방안 탐색
- 초·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공정마인드셋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자원의존론적 관점에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 양상 탐색 연구
- 성인학습자의 대학진학동기가 융합전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교사-부모와의 관계 양상에 대한 연구
-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 분석
- 대학입학전형 사례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희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원생 교육만족도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전망
- 대학 STEAM 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분석
-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사기·열의,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고교 경쟁률과 접근성에 대한 그룹간 분산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