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유장군(Jang Kun Yoo) 권보민(Bo Min Gwon)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7권 제4호, 187~2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유아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 및 분석하였다. 질문지는 교직입문 전 단계 3문항, 교직입문 후 단계 4문항, 그리고 미래 3문항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다양한 동기로 교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였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은 교직에 입문한 후 설렘과 기대감이 가득하였으며, 반면 교직수행 과정에서 심리적 위축과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족이나 동료 교사의 위로 및 지지를 받으며 극복해 나갔다. 셋째, 많은 영유아교사가 승진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교사가 되기를 지향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영유아교사들의 교직발달은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구조에서 이루어짐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aching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teaching development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questions, including three questions about the stage before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four questions about the stage afte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ree questions about the future. The primary outcome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have chosen the teaching profession for various reasons and made efforts in various ways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as teachers in colleges of educa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ull of excitement and anticipation afte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faced psychological contraction and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process. However, they overcame these issues with consolation and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nd fellow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man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not considering promotion and were aiming to become teachers who positively influence young children. The outcome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eaching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akes place in an active and complex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체육계열학과 전공수업에 대한 고찰
- 테크놀로지융합 체육수업 도입을 위한 교사양성방안 탐구 및 제언
- 여가스포츠 참여 중학생의 코치지원과 그릿 및 평생운동의도의 관계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예비 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기반 전공역량체계 개편방안 탐색
- 초·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공정마인드셋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자원의존론적 관점에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 양상 탐색 연구
- 성인학습자의 대학진학동기가 융합전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교사-부모와의 관계 양상에 대한 연구
- 영유아교사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초 연계교육의 국내 실천 동향 분석
- 대학입학전형 사례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희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원생 교육만족도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전망
- 대학 STEAM 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분석
-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사기·열의,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고교 경쟁률과 접근성에 대한 그룹간 분산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