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신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 문인들의 금(琴) 연주
이용수 8
- 영문명
- Playing the Geum(琴)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t the Point of Self-Cultivation(修身)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염명경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7권 제4호,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금(琴) 연주가 수신(修身)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조선 전기의 문인 김수온(金守溫), 성현(成俔), 김일손(金馹孫), 이득윤(李得胤)의 탄금(彈琴)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琴)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마음의 혼란함을 막고 군자(君子)가 마음을 다스리기 위한 악기로 인식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현금(玄琴)이 이와 유사한 가치를 지녔다. 김수온은 『식우집(拭疣集)』 「금헌기(琴軒記)」를 통해 금 연주가 마치 요순, 하은주 시대의 고악(古樂)과 같다고 기록했고, 성현은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을 통해 금 연주에는 답답한 마음을 풀며, 사악함을 막고 바름을 받아들이는 심신 수양의 기능이 있다고 했다. 이득윤은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의 「답정평사서(答鄭評事書)」를 통해 거문고 연주가 사악함과 더러움을 씻어내고 찌꺼기와 앙금을 없애주는 것 같다고 표현했고, 김일손은 『탁영선생문집(濯纓先生文集)』의 「서육현배(書六絃背)」를 통해 탄금(彈琴)의 이유는 사람의 성정(性情)을 다스리기 위함이라고 명시했다. 이처럼 금(琴) 연주는 사특함을 방지하고 더러운 것을 씻어내며 찌꺼기를 말끔히 사라지게 하여 정심(正心)에 이르게 하는 수신(修身)의 방법이었으며, 금의 깊고 그윽한 울림은 군자(君子)의 덕을 드러내는 데 이상적이었다. 또한 금(琴)을 통해 성정을 바르게 하면, 마음이 곧고 어질어지며 즐겁고 편안해지는 천신합일(天神合一)의 경지에 도달하게 되므로, 조선 전기의 문인들은 수신(修身)에 이르기 위한 방법으로 금 연주를 택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playing the Geum(琴)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erms of self-cultivation(修身).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government officials’ Geum(琴) performances. Geum(琴) was recognized as an instrument for mind-control in ancient China, and the Hyeongeum(玄琴) had the same value in Korea.
Kim Soo-on, Sung-hyun, Kim Il-son, and Lee Deuk-yoon all said that playing the Geum(琴) was a way of self-cultivation(修身) to clean people's minds and remove evil hearts. For this reason, playing the Geum(琴) w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修身) to control the human mind by eliminating evil and washing away the dirt.
In addition, if people got their minds clean through playing the Geum(琴), they would reach the point of unity of heaven and gods, which made their minds straight, soft, pleasant, and comfortable, so the government offici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ose to play the Geum(琴) as one of the ways to reach self-cultivation(修身).
목차
Ⅰ. 서론
Ⅱ. 조선 전기 문인들의 금(琴) 연주
Ⅲ. 탄금(彈琴)이 갖는 수신적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 조선식 및 학동식(學童食) 조사 연구에 관한 고찰
- 인류세 시대의 실존과 환경교육
- 교육과 정치에 대한 Arendt의 ‘구분’, 그 긴장과 화해가능성
- 불교의 인간관이 갖는 교육적 함의와 교육방안
- 이성의 교육자로서의 상상력에 관한 연구
- 수신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 문인들의 금(琴) 연주
- 클라프키(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육학과 시대적 핵심 문제의 재음미
- G. Deleuze와 F. Guattari의 분열분석(Schizoanalysis)이 미래교육 논의에 주는 함의 탐색
- 위당 정인보의 심학(心學)적 역사의식과 교육적 시사점
- 인류세의 교육(철학)을 위해 마르크스를 불러오기
- 교육사상연구 제37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