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이용수 31
- 영문명
- A Case Study of Online Korean Speaking Education at University in China Using ZOOM: Focused on Speaking Class at Shanghai S Universit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시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0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ase of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y using ZOOM, an interactive real-time online platform, and responses of learners who completed one semester to reveal that ZOOM can be an appropriate platform for speaking education in online classes initiated due to COVID 19. For successful progress of online classes, it is most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online platforms suit to course characteristics before class, and quality of lecturer of being familiar with and skillfully utilizing the selected platform is essential. Learning material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need to be adapted to online class situation and media devices and equipment enhancing efficiency of online class are also required. During class, it is necessary to try various activities using online platforms with appropriate learner control. This study reveals through real-life examples that pair activities or assessments using ZOOM breakout rooms and video assignments or video feedback using ZOOM recording function are effective in enhancing Korean language skill of leaners. Finally,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1st and 2nd grade learners who completed online Korean speaking class for one semester and analyzes subjective responses over course evaluat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Given that learners’ positive responses are dominant over negative responses, ZOOM, an interactive real-time online platform, can be quite effective when Korean speaking classes are conducted online.
목차
1. 서론
2. ZOOM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3.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 평가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언어 행위의 화용적 실패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 연구
- 학습레벨에 따른 접속조사 「が・けど」의 습득에 관한 연구
- 한일 다문화가정 자녀의 읽기능력
- 웹 기반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현황 분석
-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 중국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쓰기 통사적 복잡성 발달 양상 연구
-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KSL 수업 구성 연구
- 의미 투명성과 맥락 강도가 조선족 아동의 중국어 단어 의미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격 표지 및 동사 의미 처리에 대한 뇌파 연구
- 텍스트 상세화와 어휘 반복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